

29일 AP통신은 중국의 돈세탁 허브 관련 탐사보도를 공개하기에 앞서 중국 측에 확인 요청을 했을 때 중국 당국이 거부했다고 보도했지만, 막상 관련 기사가 공개되고 파장을 일으키자 중국 외교부는 물론 관영매체들까지 나서 일제히 반박의 포문을 열고 있다. 미국이 강력한 대북 금융제재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 상황에서 중국이 돈세탁 허브 역할을 했다는 보도가 사실로 확인될 경우 파문이 걷잡을 수 없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훙레이(洪磊) 외교부 대변인은 28일 정례브리핑에서 관련 질문에 대해 “중국은 돈세탁이라는 엄중한 범죄 활동에 대한 척결을 고도로 중시하고 있다”면서 “중국 정부는 유엔의 돈세탁 방지 및 반테러 자금 국제규약과 결의에 서명·비준을 하고 집행해 왔으며 관련 영역에서 적극적으로 국제 협력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우리는 이 문제에 대한 입장과 정책이 변함없이 매우 견고하다”며 “중국은 과거에도 그런 적이 없고 현재도 아니며 앞으로도 결코 소위 국제사회의 ‘돈세탁 온상’이 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런민르바오(人民日報) 자매지 환추스바오(環球時報)도 29일 중국이 ‘돈세탁의 온상’이라는 보도에 대해 반박했다. 중국 국영 금 거래 기업인 중궈황진(中國黃金)그룹의 완저(萬喆)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이 신문에 “AP통신이 제시한 사례는 아직 사실관계를 확인할 수 없지만, 사실이라 하더라도 개별 사안으로 봐야 한다”고 말했다. 환추스바오는 중국 중앙은행에 반(反)돈세탁 관련 전담 기구는 없지만 관리 규정 등을 수차례 발표했으며 국무원판공실, 외교부, 공안 등 정부 기관이 매년 국제회의에 참석해 오고 있다고 설명했다.
베이징=박세영 특파원 go@munhwa.com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