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진핑, 첫 직접표명… “韓·中관계 고도로 중시”
- 韓·美·日 정상회의
교도통신 “韓·日 정보보호협정 조기 체결 논의”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박근혜 대통령과의 한·중 정상회담에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 제재 결의 2270호 이행과 관련, “앞으로 중국은 유엔 대북 제재 결의안을 전면적이고 완전하게 이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시 주석은 31일 오후(한국시간 1일 오전) 미국 워싱턴 옴니쇼럼 호텔에서 열린 정상회담에서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인 한·중 관계를 고도로 중시한다”면서 이같이 말했다고 청와대 측이 전했다. 북한의 4차 핵실험(1월 6일) 이후 시 주석이 박 대통령에게 직접적으로 결의안의 완벽한 이행 의사를 표명한 것은 처음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중국이 유엔 안보리 결의의 ‘전면적이고 완전한 이행’을 한국에 공식적으로 약속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고 평가했다.
박 대통령은 정상회담 모두발언에서 “오늘 한·중 정상회담은 일곱 번째로 취임 이후 가장 많이 만난 정상이 시 주석”이라며 “중국이 안보리 상임이사국으로 책임 있는 역할을 해주고 있는데 감사를 전한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이에 앞서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와 워싱턴 컨벤션센터에서 3국 정상회의를 하고 북한 핵포기를 위한 3국 안보협력을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
3국 정상은 회의 뒤 언론 발표문을 통해 “3국은 각국의 독자 대북 제재 조치 시행을 서로 긴밀히 조율해 나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오바마 대통령은 “3자 안보협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맞춰 3국 정상회의에서는 한·일 간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의 조기 체결 문제가 논의됐다고 일본 교도(共同)통신이 전했다.
박 대통령은 핵안보정상회의 연설에서 “북한이 2009년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핵시설 접근을 차단한 이후, 국제사회는 북한의 핵물질 생산과 축적, 관리 현황에 대한 정보가 거의 없는 상태”라며 “더욱이 과거 북한의 사이버 공격과 무인기 침투 시도를 감안하면, 이 같은 새로운 기술을 악용해 원자력 시설의 안보를 위협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밝혔다.
워싱턴 = 이제교 기자·신보영 특파원 jklee@munhwa.com
관련기사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