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硏 23만명 조사
“취업연령층 2억명 늘어
세계 경제 큰 변화 예상”
도시에 사는 중국인 취업연령층의 소비가 급증해 글로벌 경제의 지형에 큰 변화를 줄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글로벌 컨설팅 회사인 맥킨지의 연구 부서인 글로벌 연구소(GI)가 1만 명의 중국인과 25개국 22만 명을 면접 조사한 결과, 도시에 거주하는 15∼59세 중국인의 연간 소비는 오는 2030년까지 두 배 이상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다. GI는 정부의 한 자녀 정책에도 불구하고 중국인 취업연령층 인구는 지난해의 4억2100만 명에서 2030년에는 6억2800만 명으로 늘어날 것으로 추산했다. 취업연령층의 연간 소비도 같은 기간 2조5000억 달러(약 2898조2500억 원)에서 6조7000억 달러(약 7749조 원)가 될 것으로 예상했다. GI는 이처럼 소비가 급증하면서 중국의 취업연령층은 절정기의 서구 베이비부머보다 글로벌 경제에 더 많은 영향을 줄 것이라고 예측했다.
GI는 “중국인 소비자 세대는 과거 같은 세대보다 더 풍족하고 더 많은 교육을 받았으며 소득에서 더 많은 부분을 지출하려 한다”면서 “최근 서비스에 대한 지출이 신속하게 늘어나기 시작하는 소득 경계선에 도달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월 소득이 2100달러를 넘는 도시 지역 취업연령층 가구의 비중은 2010년 4%에 불과했으나 2030년에는 54%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다. GI는 이에 힘입어 지난해 4800달러였던 1인당 소비도 매년 5.4% 증가해 2030년에는 1만700달러로 늘어날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는 서구의 소비 수준에는 크게 미달하는 것이지만 중국 취업연령층 인구가 압도적으로 많은 덕분에 글로벌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클 것이라는 분석이다. 중국 취업연령층이 2030년에는 글로벌 도시 지역의 소비 성장에서 18%의 비중을, 중국인 60세 이상 인구는 10%의 비중을 차지할 것으로 각각 전망했다. 반면 유럽 밀레니얼 세대의 비중은 2%에 미치지 못할 것으로 추산됐다. 리처드 돕스 맥킨지 글로벌 연구소장은 파이낸셜타임스(FT)에 “마케팅과 광고업계가 밀레니얼 세대를 미화한 것은 과거사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취업연령층의 중국인들은 향후 12개월 동안 소득이 10% 증가하면 그 43%를 소비하겠다고 답했다. 이는 서유럽과 일본의 31∼32%, 북미의 20%를 웃도는 것이다.
베이징 = 박세영 특파원 go@munhwa.com
“취업연령층 2억명 늘어
세계 경제 큰 변화 예상”
도시에 사는 중국인 취업연령층의 소비가 급증해 글로벌 경제의 지형에 큰 변화를 줄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글로벌 컨설팅 회사인 맥킨지의 연구 부서인 글로벌 연구소(GI)가 1만 명의 중국인과 25개국 22만 명을 면접 조사한 결과, 도시에 거주하는 15∼59세 중국인의 연간 소비는 오는 2030년까지 두 배 이상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다. GI는 정부의 한 자녀 정책에도 불구하고 중국인 취업연령층 인구는 지난해의 4억2100만 명에서 2030년에는 6억2800만 명으로 늘어날 것으로 추산했다. 취업연령층의 연간 소비도 같은 기간 2조5000억 달러(약 2898조2500억 원)에서 6조7000억 달러(약 7749조 원)가 될 것으로 예상했다. GI는 이처럼 소비가 급증하면서 중국의 취업연령층은 절정기의 서구 베이비부머보다 글로벌 경제에 더 많은 영향을 줄 것이라고 예측했다.
GI는 “중국인 소비자 세대는 과거 같은 세대보다 더 풍족하고 더 많은 교육을 받았으며 소득에서 더 많은 부분을 지출하려 한다”면서 “최근 서비스에 대한 지출이 신속하게 늘어나기 시작하는 소득 경계선에 도달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월 소득이 2100달러를 넘는 도시 지역 취업연령층 가구의 비중은 2010년 4%에 불과했으나 2030년에는 54%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다. GI는 이에 힘입어 지난해 4800달러였던 1인당 소비도 매년 5.4% 증가해 2030년에는 1만700달러로 늘어날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는 서구의 소비 수준에는 크게 미달하는 것이지만 중국 취업연령층 인구가 압도적으로 많은 덕분에 글로벌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클 것이라는 분석이다. 중국 취업연령층이 2030년에는 글로벌 도시 지역의 소비 성장에서 18%의 비중을, 중국인 60세 이상 인구는 10%의 비중을 차지할 것으로 각각 전망했다. 반면 유럽 밀레니얼 세대의 비중은 2%에 미치지 못할 것으로 추산됐다. 리처드 돕스 맥킨지 글로벌 연구소장은 파이낸셜타임스(FT)에 “마케팅과 광고업계가 밀레니얼 세대를 미화한 것은 과거사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취업연령층의 중국인들은 향후 12개월 동안 소득이 10% 증가하면 그 43%를 소비하겠다고 답했다. 이는 서유럽과 일본의 31∼32%, 북미의 20%를 웃도는 것이다.
베이징 = 박세영 특파원 go@munhwa.com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