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온라인 시스템 개발
서울·세종·충북 교육청 등
하반기부터 국·공립 시범운용
사립은 희망하는 곳 적용케
올 하반기부터 유치원 원서 접수부터 추첨까지 전 과정을 온라인으로 진행하는 시스템이 서울 등 3개 시·도교육청에서 시범 도입돼 ‘공뽑기’ 추첨이 사라진다. 학부모들이 일일이 여러 유치원을 방문해 원서를 내고 추첨에 직접 참여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덜기 위한 것으로, ‘로또 추첨’에 비유되는 유치원 선발 과정의 혼란이 다소나마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교육부는 서울, 세종, 충북 등 3개 교육청과 공동으로 유치원 원아 모집 선발 시스템 개발에 나선다고 8일 밝혔다. 이 시스템은 원서 접수부터 추첨, 등록까지 원아 선발 전 과정이 온라인 전용 사이트 한 곳에서 이뤄지도록 한 것이다. 학부모들은 이 사이트에서 공통 양식의 원서를 내려받아 작성한 뒤 희망하는 유치원에 내고, 추첨 결과도 이 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
지금까지는 유치원에 지원하려면 어린이가 다니고 싶은 유치원을 각각 방문해 서로 다른 양식의 원서를 작성한 뒤 제출하고, 추첨일에 직접 가서 ‘공뽑기’ 등과 같은 추첨 절차에 참여해야 했다. 따라서 ‘워킹맘’은 추첨일에 따로 휴가를 내거나, 여러 유치원에 지원했을 경우 할아버지, 할머니 등 온 가족이 동원돼 추첨에 참여해야 하는 등 번거로움이 많았다.
하지만 전용 사이트가 구축되면 ‘클릭’ 한 번으로 원서 접수와 추첨 확인이 온라인에서 가능해지고, 원서 역시 하나만 작성하면 여러 유치원에 동시에 낼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학부모의 번거로움이 사라지고 유치원 입장에서도 업무가 대폭 경감되는 효과가 기대된다고 교육부는 설명했다. 교육부는 다만 온라인 시스템 적용으로 학부모들이 무제한으로 여러 유치원에 원서를 내게 되면 경쟁률이 대폭 치솟는 부작용이 우려되는 만큼 지원 횟수를 제한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유치원 등록은 지금과 같이 1곳에만 가능하게 할 계획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지원 횟수를 제한하지 않으면 시스템 과부하, 경쟁률 상승 등 오히려 학부모 피해가 있을 수 있다”며 “시·도교육청과 협의를 통해 학부모의 선택권을 제한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지원 횟수를 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교육부는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10월까지 시스템 개발과 테스트를 마친 뒤 오는 10월 말 시작되는 원서 접수 과정부터 시스템을 적용하기로 했다.
신선종 기자 hanuli@munhwa.com
서울·세종·충북 교육청 등
하반기부터 국·공립 시범운용
사립은 희망하는 곳 적용케
올 하반기부터 유치원 원서 접수부터 추첨까지 전 과정을 온라인으로 진행하는 시스템이 서울 등 3개 시·도교육청에서 시범 도입돼 ‘공뽑기’ 추첨이 사라진다. 학부모들이 일일이 여러 유치원을 방문해 원서를 내고 추첨에 직접 참여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덜기 위한 것으로, ‘로또 추첨’에 비유되는 유치원 선발 과정의 혼란이 다소나마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교육부는 서울, 세종, 충북 등 3개 교육청과 공동으로 유치원 원아 모집 선발 시스템 개발에 나선다고 8일 밝혔다. 이 시스템은 원서 접수부터 추첨, 등록까지 원아 선발 전 과정이 온라인 전용 사이트 한 곳에서 이뤄지도록 한 것이다. 학부모들은 이 사이트에서 공통 양식의 원서를 내려받아 작성한 뒤 희망하는 유치원에 내고, 추첨 결과도 이 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
지금까지는 유치원에 지원하려면 어린이가 다니고 싶은 유치원을 각각 방문해 서로 다른 양식의 원서를 작성한 뒤 제출하고, 추첨일에 직접 가서 ‘공뽑기’ 등과 같은 추첨 절차에 참여해야 했다. 따라서 ‘워킹맘’은 추첨일에 따로 휴가를 내거나, 여러 유치원에 지원했을 경우 할아버지, 할머니 등 온 가족이 동원돼 추첨에 참여해야 하는 등 번거로움이 많았다.
하지만 전용 사이트가 구축되면 ‘클릭’ 한 번으로 원서 접수와 추첨 확인이 온라인에서 가능해지고, 원서 역시 하나만 작성하면 여러 유치원에 동시에 낼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학부모의 번거로움이 사라지고 유치원 입장에서도 업무가 대폭 경감되는 효과가 기대된다고 교육부는 설명했다. 교육부는 다만 온라인 시스템 적용으로 학부모들이 무제한으로 여러 유치원에 원서를 내게 되면 경쟁률이 대폭 치솟는 부작용이 우려되는 만큼 지원 횟수를 제한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유치원 등록은 지금과 같이 1곳에만 가능하게 할 계획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지원 횟수를 제한하지 않으면 시스템 과부하, 경쟁률 상승 등 오히려 학부모 피해가 있을 수 있다”며 “시·도교육청과 협의를 통해 학부모의 선택권을 제한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지원 횟수를 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교육부는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10월까지 시스템 개발과 테스트를 마친 뒤 오는 10월 말 시작되는 원서 접수 과정부터 시스템을 적용하기로 했다.
신선종 기자 hanuli@munhwa.com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