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법재판소가 종북(從北) 세력의 민주적 기본질서 위배 책임을 물어 2014년 12월 해산시킨 통합진보당 출신(出身) 인사들이 국회 재진입을 노리고 있다. 울산에서는 해산심판 심리 기간 중이던 2014년 6월 통진당 소속으로 각각 동구·북구청장 후보로 출마했던 김종훈·윤종오 후보가 이번엔 무소속으로 선전 중이라고 한다. 두 측면에서 심각한 문제다. 우선, 위헌 정당 해산과 함께 소속 의원 5명의 의원직을 박탈했는데 그 정당 출신 인사들이 또 의원직에 다가서는 것은 헌법 제도의 실효성에 대한 도전이다.

더 우려되는 일은 제1 야당이 또다시 이들의 원내 진입을 거들고 있다는 사실이다. 김·윤 두 후보는 모두 더불어민주당과 후보 단일화를 이뤘는데, 모두 더민주 후보가 사퇴했다. 무소속을 위해 정당 후보가 선거를 포기하는 것은 그 정당의 존재 이유까지 의문스럽게 하는 일이다. 문재인 전 대표는 지난달 23일 단일화 중재를 위해 울산 북구를 방문, “야권 승리를 위해 반드시 단일화가 필요하다”고 역설해 이상헌 더민주 예비후보로부터 “내년 대선 승리를 위해 아무 조건 없이 물러선다”는 화답을 이끌어냈다. 더민주 후보의 주장은 내년 대선에서 통진당 출신들의 지지를 얻어내기 위해 출마를 포기한다는 얘기다. 동구의 김 후보가 이틀 뒤 이수영 더민주 후보와 단일화를 이룬 것도 같은 맥락이다.

그 주역인 문 전 대표가 2012년 제1 야당이던 민주통합당 대선 후보였고, 내년 대선의 유력한 후보이기도 한 사실은 중대한 문제다. 당시 민주통합당은 통진당과의 연대를 통해 ‘통진당 의원 10명’이 국회에 똬리를 틀도록 돕는 대신 이정희 통진당 후보의 대선 이틀 전 사퇴 및 지지를 얻어냈다. 이 때문에 ‘종북의 숙주(宿主)’ 지적을 받았다. 이번 울산 사례는 그 축소판으로 비친다. 더욱이 통진당 출신 66명이 통진당 전신인 민주노동당의 계승을 자임해온 민중연합당 소속 내지 무소속으로 출마했다. 울산 두 후보 중 누군가가 당선돼 그 당에 입당하면 종북 의심을 받는 원내 정당이 또 생긴다. 제1야당 일각의 종북 본색을 새삼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