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부동산 투자가 증가하고 관광객이 늘었다고 주민 소득이 비례해서 증가하지 않습니다. 투자자인 외부(외국) 업체 소득이 우선되기 때문입니다.”
고태호(사진) 제주발전연구원 경제산업부장은 중국 자본 투자 분위기를 무작정 ‘환영’할 수만은 없다며 부동산·관광분야 등 일부 업종에 편중돼 지역 토종 업체들이 손실을 보는 경우도 있다고 말했다. 고 부장은 “제주도가 외국인 투자 유치를 위해 부동산 투자 문호를 개방한 뒤 제도적 한계와 자연경관 훼손 등 무분별한 투자로 문제점도 하나둘 불거지고 있다”며 중국 자본 유입에 따른 부작용을 우려했다.
그는 실례로 “한라산 천연보호구역과 700m밖에 떨어지지 않은 한라산 중턱에 55만㎡ 규모로 콘도 472실과 관광호텔 200실, 맥주 박물관 등을 짓는다”며 “이처럼 자연경관을 훼손하는 개발은 신중해야 한다”고 말했다. 고 부장은 중국 자본 증가 덕에 제주도 부동산시장이 살아나고 지역개발이 활발해진 점은 인정한다면서도 “거꾸로 환경 파괴와 부동산 광풍에 따른 주민 가계 부담 등 부작용도 만만치 않다”고 설명했다. 제주도는 지난해 공시지가가 전국 최고 수준인 19.35%까지 상승했으며 4년 전 1억5000만 원 하던 제주도청 인근 아파트도 최근 두 배가 훌쩍 넘는 3억5000만 원에 거래되고 있는 실정이다.
고 부장은 특히 “중국의 관광개발 투자는 전·후방 연계 효과가 높지만 효과의 지속성을 확보하기 어려워 기존 사업체와의 경쟁이 심해지고 있다”며 “새로운 수요를 만들 수 있는 분야로 투자의 방향을 전환할 때”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제주 = 박팔령 기자 park80@munhwa.com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