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최고의 영화제’인 부산국제영화제가 파행 위기에 직면하고 있다. 김규옥 부산시 경제부시장은 20일 “(서병수 시장이 사퇴를 공언한) 영화제 조직위원장 직에 영화계가 받아들일 만한 합의된 인물을 추대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영화제의 투명성·책임성·자율성·지역참여 등 4가지 관점을 토대로 대화와 타협을 계속 시도할 계획”이라면서도, 영화계가 주장해온 영화제 총회를 통한 조직위원장 선출과 ‘부산시 관여’ 전면 배제 등에는 거듭 선을 그은 셈이다.
영화 단체 9개로 구성된 ‘부산국제영화제 지키기 범영화인 비상대책위원회’가 오는 10월 6일 개막할 제21회 영화제 참가 ‘전면 거부’ 결의를 18일 밝힌 배경도 이해 못 할 바는 아니다. 관(官)의 ‘예술 활동 지원, 간섭 극소화’는 글로벌 스탠더드에 해당한다. 하지만 부산시 지적대로 ‘예술적 영역의 독립성 보장’과 함께 ‘재정 지원을 하는 공익적 관점에서의 행정적 책임’ 차원의 합당한 관여는 책무다. 부산시가 지원하는 영화제 비용의 절반인 60억 원은 세금이다. 영화인이 위원장을 맡아온 집행위원회에 대한 감사도 당연하다. 이는 보편적 원칙(原則)이고 상식(常識)이다.
2014년 영화제에서 서 시장이 세월호 희생자 구조 문제를 다룬 다큐멘터리 ‘다이빙 벨’에 대해 ‘영화제의 정치적 악용 우려가 크다’며 상영 중단을 요청했던 취지도 다르지 않을 것이다. 그 요청은 거부됐지만, 갈등 심화의 시발점이었다. 당시 집행위원장에 대한 감사원 감사, 검찰 고발 등으로 이어지기도 했다. 영화제 총회에서 의결권을 갖는 신규 자문위원 68명 추가 위촉에 대해 부산시가 제기한 효력정지 가처분 신청을 법원이 지난 11일 인용하기에 이른 것도 그 연장선이다. 한국 문화계의 소중한 자산인 부산국제영화제의 위기는 원칙과 상식을 바탕으로 합리적으로 접근해 극복해야 한다.
영화 단체 9개로 구성된 ‘부산국제영화제 지키기 범영화인 비상대책위원회’가 오는 10월 6일 개막할 제21회 영화제 참가 ‘전면 거부’ 결의를 18일 밝힌 배경도 이해 못 할 바는 아니다. 관(官)의 ‘예술 활동 지원, 간섭 극소화’는 글로벌 스탠더드에 해당한다. 하지만 부산시 지적대로 ‘예술적 영역의 독립성 보장’과 함께 ‘재정 지원을 하는 공익적 관점에서의 행정적 책임’ 차원의 합당한 관여는 책무다. 부산시가 지원하는 영화제 비용의 절반인 60억 원은 세금이다. 영화인이 위원장을 맡아온 집행위원회에 대한 감사도 당연하다. 이는 보편적 원칙(原則)이고 상식(常識)이다.
2014년 영화제에서 서 시장이 세월호 희생자 구조 문제를 다룬 다큐멘터리 ‘다이빙 벨’에 대해 ‘영화제의 정치적 악용 우려가 크다’며 상영 중단을 요청했던 취지도 다르지 않을 것이다. 그 요청은 거부됐지만, 갈등 심화의 시발점이었다. 당시 집행위원장에 대한 감사원 감사, 검찰 고발 등으로 이어지기도 했다. 영화제 총회에서 의결권을 갖는 신규 자문위원 68명 추가 위촉에 대해 부산시가 제기한 효력정지 가처분 신청을 법원이 지난 11일 인용하기에 이른 것도 그 연장선이다. 한국 문화계의 소중한 자산인 부산국제영화제의 위기는 원칙과 상식을 바탕으로 합리적으로 접근해 극복해야 한다.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