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0년간 서울에서 아파트값이 가장 많이 오른 곳은 서울 서초구로 집계됐다. 서초구 아파트 가격은 2006년 1분기 평균 8억7685만 원에서 지난 1분기 10억9610만 원으로 10년 만에 2억1925만 원이 올라 가장 큰 상승폭을 보였다.
21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서울 아파트 가구당 평균 매매가격은 5억6449만 원으로 10년 전인 2006년 1분기(4억4214만 원)보다 1억2285만 원 올랐다.
서초구에 이어 마포구 2억1863만 원, 종로구 1억9456만 원, 은평구 1억9182만 원, 중구 1억8746만 원, 광진구 1억8116만 원 등의 순으로 한강이북 아파트값의 상승세가 두드러졌다. 지난 10년간 아파트값이 2억 원 이상 오른 마포구는 상암DMC 개발과 아현뉴타운 등에서 새 아파트 공급이 이뤄지면서 가격 상승폭이 커졌다.
서초구의 아파트값이 가장 많이 오른 것은 지난 10년간 한강 개발 이슈가 계속됐고, 반포와 잠원, 서초동 등의 주요 단지를 중심으로 재건축이 추진된 영향이 크다.
서초구를 제외한 강남권 주요 지역인 강동구, 강남구, 송파구, 양천구 등에서는 아파트값 상승폭이 물가상승률을 따라가지 못했다. 서울 물가상승률은 10년(2006년 3월 기준) 전에 비해 27% 올랐으나 강동구(13.46%), 강남구(9.99%), 송파구(6.24%) 등은 서울 물가상승률을 크게 밑돌았다. 특히 양천구(-0.04%)는 2006년보다 소폭 하락했다.
서울 아파트 가구당 평균 매매가격은 한강이북이 2006년 1분기 2억8068만 원에서 올해 1분기 4억3754만 원으로 10년 만에 1억5686만 원이 올랐다. 이에 비해 한강이남은 2006년 1분기 5억7335만 원에서 올해 1분기 6억7328만 원으로 9993만 원이 올라 한강이북의 아파트값 상승폭이 컸던 것으로 나타났다.
강남 3구 재건축 아파트의 가구당 평균 매매가격은 2006년 1분기 9억9407만 원에서 지난 1분기 11억7485만 원으로 1억8078만 원 오른 데 비해 강남3구 일반 아파트는 지난 10년간 1억1069만 원 상승했다. 서초구 재건축 아파트는 가구당 평균 매매가격이 10년간 2억8255만 원 올라 서울 평균 상승액의 2배가 넘었다.
김순환 기자 soon@
21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서울 아파트 가구당 평균 매매가격은 5억6449만 원으로 10년 전인 2006년 1분기(4억4214만 원)보다 1억2285만 원 올랐다.
서초구에 이어 마포구 2억1863만 원, 종로구 1억9456만 원, 은평구 1억9182만 원, 중구 1억8746만 원, 광진구 1억8116만 원 등의 순으로 한강이북 아파트값의 상승세가 두드러졌다. 지난 10년간 아파트값이 2억 원 이상 오른 마포구는 상암DMC 개발과 아현뉴타운 등에서 새 아파트 공급이 이뤄지면서 가격 상승폭이 커졌다.
서초구의 아파트값이 가장 많이 오른 것은 지난 10년간 한강 개발 이슈가 계속됐고, 반포와 잠원, 서초동 등의 주요 단지를 중심으로 재건축이 추진된 영향이 크다.
서초구를 제외한 강남권 주요 지역인 강동구, 강남구, 송파구, 양천구 등에서는 아파트값 상승폭이 물가상승률을 따라가지 못했다. 서울 물가상승률은 10년(2006년 3월 기준) 전에 비해 27% 올랐으나 강동구(13.46%), 강남구(9.99%), 송파구(6.24%) 등은 서울 물가상승률을 크게 밑돌았다. 특히 양천구(-0.04%)는 2006년보다 소폭 하락했다.
서울 아파트 가구당 평균 매매가격은 한강이북이 2006년 1분기 2억8068만 원에서 올해 1분기 4억3754만 원으로 10년 만에 1억5686만 원이 올랐다. 이에 비해 한강이남은 2006년 1분기 5억7335만 원에서 올해 1분기 6억7328만 원으로 9993만 원이 올라 한강이북의 아파트값 상승폭이 컸던 것으로 나타났다.
강남 3구 재건축 아파트의 가구당 평균 매매가격은 2006년 1분기 9억9407만 원에서 지난 1분기 11억7485만 원으로 1억8078만 원 오른 데 비해 강남3구 일반 아파트는 지난 10년간 1억1069만 원 상승했다. 서초구 재건축 아파트는 가구당 평균 매매가격이 10년간 2억8255만 원 올라 서울 평균 상승액의 2배가 넘었다.
김순환 기자 soon@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