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노조가 28일 올해 임금협상 요구안에 일반·연구직 조합원의 과장 승진 거부권을 포함시켰다고 한다. 직장인에게 승진은 축복이고, 회사 측엔 조직 관리의 기본이다. 그런데 승진을 안 할 권리를 달라니 의아할 수밖에 없다. 단서는 ‘노조 권력’에 있다. 재직 기간 노조원 자격을 유지하는 생산직과 달리 일반·연구직은 과장 승진과 함께 노조에서 나가야 한다. 연봉제 적용을 받고 인사고과 압박도 받는다. 반면 노조의 품 안에 있으면 호봉 승급으로 매년 임금이 오르고, 정년이 보장된다. 감투보다 실속을 챙기겠다는 뜻이다. 노조는 조직력을 키울 수 있다. 일반·연구직은 전체 정규직의 15%인 8000여 명이다.
노조의 승진 거부권 요구는 기업 인사권에 대한 명백한 침해다. 선의의 경쟁, 직급에 따른 책임의식도 흔들릴 수 있다. 당장 철회해야 마땅하다. 이런 황당한 주장을 내놓는 것부터가 조합원들이 ‘노조 천국’ 속에서 기득권을 누리고 있다는 방증이다. 현대차가 2012년 한시적으로 직군 전환을 했을 때 일반·연구직 176명이 생산직을 희망했다. 노조를 방패막 삼아 해고를 피해갈 수 있으리라고 믿지만, ‘철밥통 고수’는 개인의 노력과 발전을 저해하고, 회사 경쟁력을 무너뜨린다. 회사 입장에선 저성과자 퇴출 길이 막힌다. 최근 조선·해운 산업 구조조정에서 보듯, 산업 환경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지 못하면 노·사 공멸을 자초한다. 기득권 위주의 편중·왜곡된 노동시장 질서를 바로잡자는 것이 박근혜정부 노동개혁인데, 그나마 제자리걸음인 것도 심각한 문제다.
노조의 승진 거부권 요구는 기업 인사권에 대한 명백한 침해다. 선의의 경쟁, 직급에 따른 책임의식도 흔들릴 수 있다. 당장 철회해야 마땅하다. 이런 황당한 주장을 내놓는 것부터가 조합원들이 ‘노조 천국’ 속에서 기득권을 누리고 있다는 방증이다. 현대차가 2012년 한시적으로 직군 전환을 했을 때 일반·연구직 176명이 생산직을 희망했다. 노조를 방패막 삼아 해고를 피해갈 수 있으리라고 믿지만, ‘철밥통 고수’는 개인의 노력과 발전을 저해하고, 회사 경쟁력을 무너뜨린다. 회사 입장에선 저성과자 퇴출 길이 막힌다. 최근 조선·해운 산업 구조조정에서 보듯, 산업 환경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지 못하면 노·사 공멸을 자초한다. 기득권 위주의 편중·왜곡된 노동시장 질서를 바로잡자는 것이 박근혜정부 노동개혁인데, 그나마 제자리걸음인 것도 심각한 문제다.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