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와 새누리당 내 친박(親朴)세력이 28일 일제히 ‘2선 후퇴’나 ‘탈(脫)계파’를 외치고 나섰다. 하루 앞서 박근혜 대통령이 “친박을 만든 적 없다. 다 선거용 마케팅에서 나온 얘기” 라고 한 발언의 연장선으로 비친다. 이번 총선 참패의 직접적·실질적 원인이 무리한 친박 공천 및 반박(反朴) 축출에 있었던 만큼 친박 세력의 이런 움직임은 당연한 것이다. 국민 눈높이에서 보면 원내대표나 당 대표 등 주요 당직 도전 포기는 물론 자성과 실질적 인책(引責)이 필요한 상황이다. 그런데 청와대와 친박 움직임은 진정성을 인정받기에는 아직 부족하고, 심지어 공허해 보인다.

우선, 원내대표 경선을 둘러싼 꼴불견은 진정성 부재를 보여주기에 충분하다. 진박을 자처하고 총선 직전까지 해양수산부 장관을 지낸 유기준 의원은 원내대표 출마 선언에서 ‘탈계파’라는 표현을 사용하면서도 “친박을 부인하지 않는다”고 했다. 친박에다 비박까지 아우르는 ‘초계파적 지지’를 받겠다는 의미 아닌가. 본인은 “완장 차고 이익을 추구한 일이 없다”고 했지만 의원·장관 겸직에 대한 부정적 여론에다 한시적 장관이 불가피함에도 장관을 지냈다. 친박의 혜택은 누리고 책임에선 비켜서겠다는 2중적 태도로 비친다.

친박 좌장의 한 사람인 최경환 의원이나 청와대 인사들의 만류 역시 설득력을 갖기에는 역부족이다. 최 의원은 “친박 비박으로 나눠 싸우면 대통령에 엄청난 부담”이라며 “친박계는 이번 원내대표 경선에 안 나가는 게 맞다”고 했다. 친박 책임론은 사라지고 공동 책임론으로 물타기 한 논리고, ‘다음 경선’인 당 대표 경선에는 나갈 수 있다는 여지까지 읽힌다. 청와대 관계자는 “더 이상 친박을 팔지 말라”는 얘기까지 했다고 한다. 정말로 만류 의지가 분명하다면 더 선명하게 뜻을 밝히고 대응하는 방법이 수두룩하다.

이런 분란은 여전히 박 대통령의 진의가 애매하기 때문이다. 박 대통령은 ‘배신의 정치 심판’‘진실한 사람 선택’ 등의 발언으로 친박을 옹호했다. 이런 사실에 대한 성찰이나 해명 없이 친박의 존재를 느닷없이 부정한다면 누가 믿겠는가. 다소라도 신뢰를 받으려면 친박계의 당권 도전 포기, 박 대통령의 포용적 국정 운영 등을 실천으로 보여줘야 할 것이다.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