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들 제언

“장기적 관점서 결단해야
부실부문 과감한 정리를”


조선·해운 업계 구조조정에 대해 전문가들이 장기적 관점에서 구조조정을 할 수 있는 민간 구조조정 전문 컨소시엄 구성 등을 제시하고 나섰다.

정부가 ‘정부 주도의 빅딜은 없다’며 채권단에 의한 구조조정을 강조하고 나섰지만 산업은행 등 주요 채권은행이 이미 실책을 이어왔고, 전문성이 부족해 구조조정이 임시처방에 그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오정근 건국대 특임교수는 2일 문화일보와의 전화통화에서 “민간 구조조정 전문 컨소시엄 구성을 통해 구조조정을 추진해야 한다”면서 “정부 역할이 과도하면 정부 실패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정부는 구조조정 방향, 지원방식, 일정 등 큰 그림만 그려야 한다”고 말했다.

구조조정 전문 투자은행, 로펌, 컨설팅 회사 등이 컨소시엄을 구성해 전문적이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조선·해운 업계의 부실한 부문은 과감히 정리하는 구조조정을 시행해야 한다는 것이다.

미국의 제너럴모터스(GM)는 지난 2008년 파산 위기에 몰렸지만, 로스차일드 사모펀드(PEF)가 컨트롤타워가 돼 기업구조조정 전문가, 법률, 금융, 회계법인 등과 컨소시엄을 형성했다. 정부가 아닌 이 컨소시엄이 전문성을 갖고 사업 전망을 판단해 경쟁력 없는 부문은 과감히 없애는 구조조정을 단행했고, GM은 미국산업을 이끄는 효자 기업으로 재탄생했다.

정부는 산업은행 구조조정 인력을 늘리고 외부컨설팅을 활용하겠다고 밝혔으나 민간 컨소시엄 등 보다 체계적인 태스크포스(TF)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5월 현재 현대중공업, 삼성중공업, 대우조선해양 등 ‘빅3’의 경우 해양플랜트사업 비율이 상당히 높아 미래 전망치를 내놓기가 더욱 불투명한 상황이다.

또 업계에서는 자산 건전성 분류 시 미래 채무상환 능력을 고려한 자산건전성분류기준(FLC) 방식을 강화해야 한다는 제안도 나온다. 현재 개별 기업의 위기 상황이 일시적 유동성 위기인지 지급불능인지를 파악해 지급불능일 경우 과감한 구조조정을 추진해야 한다는 것이다.

김필규 자본시장연구원 동향분석실장은 “정부 주도 구조조정은 정치적 부담도 크고 여러 어려움이 있는 상황이어서 개별기업과 채권단이 보다 전문성을 갖고 시나리오를 만드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유현진 기자 cworange@munhwa.com
유현진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