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외부 혁신위장 난항에
오세훈·김문수 등 거론돼
“令이 서겠나… 어이 없다”


새누리당이 총선 참패를 계기로 내부 혁신을 위해 만들기로 한 혁신위원회가 출범도 전에 ‘산으로 가고 있다’는 지적을 듣고 있다. 정진석 원내대표가 비상대책위원장을 맡기로 하면서 당초 당권에 준하는 권한을 갖는 혁신위 구상이 찌그러진 마당에 외부 인사도 아닌 내부 인사를 혁신위원장으로 세우자는 논의가 나오면서다. 오세훈 전 서울시장, 김문수 전 경기지사와 같은 이들의 이름이 거론되면서 총선에서 패배한 이들에게 당 수습과 혁신을 맡기는 게 맞느냐는 비판이 거세게 이는 모양새다. “당이 망조가 들었다”는 소리까지 나온다.

하태경 새누리당 의원은 13일 통화에서 “뚜렷한 대책도 없고 혁신적 목소리를 모아 이끌어갈 리더십도 없고 그런 상황”이라며 “망조가 단단히 들었다”고 했다. 이종구 당선인도 “더 이상 새누리당에 미래가 없다”며 “이대로 가면 내년 대선에서 야권에 정권을 빼앗기는 일은 당연한 것”이라고 했다. 김영우 의원은 “솔직히 자포자기”라고 말했다.

이 같은 반응은 당이 총선 참패 후 수습 국면에서 혁신 외면 행보를 보이고 있다는 항간의 평가와 무관치 않다. 정 원내대표 등 중진 의원들은 혁신위원장 외부 인사 영입이 난항을 겪자 당 내부로 눈을 돌리기 시작했다. 상황이 이러자 “어이없다”는 반응이 주를 이룬다. 한 새누리당 관계자는 “총선에서 진 사람도 새누리당 총선 참패에 일정 책임이 있는 데다가, 총선에서 진 사람이 혁신위원장을 맡으면 영이 서겠느냐”고 했다. 당사자들도 고개를 저었다. 오 전 시장은 통화에서 “지금은 자숙하고 자성할 때지 혁신에 앞장서고 그럴 입장이 아니다”고 했다. 한 비박(비박근혜)계 관계자는 “이렇게 당 안팎에 인물이 없는지 새삼 놀랐고 씁쓸할 뿐이다”고 말했다. 다른 인사는 “2인자를 두지 않는 박근혜 대통령 스타일의 영향도 있는 것 같다”며 “빨리 친박(친박근혜)계 주류들이 정신을 차려야 할 텐데 걱정”이라고 말했다.

박세희 기자 saysay@munhwa.com
박세희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