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를 방문 중인 박근혜 대통령은 지난 29일 우간다의 요웨리 무세베니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가졌다. 청와대는 회담 뒤 “우간다는 북한과의 안보·군사·경찰 분야에서 협력 중단을 포함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를 충실히 이행하도록 지시했다”고 발표하면서 무세베니 대통령의 언급임을 전했다. 그런데 우간다 정부 관계자가 부인했다는 외신 보도가 나와 논란이 빚어졌다. AFP 통신에 따르면, 샤반 반타리자 정부 부대변인은 청와대 발표에 대해 신속하게 “사실이 아니고, 선전(propaganda)”이라고 말했다.
박 대통령의 방문은 ‘북한의 동아프리카 외교 거점’인 우간다도 유엔의 대북(對北) 제재 결의에 동참하게 함으로써, 북핵 봉쇄를 위한 국제 공조 체제를 굳건히 하려는 시도의 일환이었고, 상당한 성과를 거둔 것으로 보인다. 안보리 결의 제2270호에 따르면 회원국에 군사·준(準)군사 조직 및 경찰 훈련을 위한 훈련관·자문관 초청을 금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간다는 약 50명의 북한 군경(軍警) 교관단을 유지하는 등 ‘국제 공조의 틈새’ 역할을 해 왔기 때문이다. 특히, 오랜 기간 군사 분야에서 북한에 상당히 의지해 왔기에 군사 협력 중단은 쉽지 않은 결정이었을 것이다.
청와대 발표와 우간다 정부 관계자의 발언에는 괴리가 있지만 정황을 종합하면, 북한과의 군사 교류 중단은 사실일 가능성이 커 보인다. 우간다 언론들도 “유엔 제재에 따라 북한과의 협력을 중단한다”는 우간다 외교장관의 발표를 보도하고 있기 때문이다. 다만, 청와대가 앞서 발표해 우간다 정부 입장을 난처하게 만들었거나 우간다 군부 내의 친북 세력을 자극했을 가능성도 있다. 내용 자체보다는 발표를 문제 삼은 우간다 정부 부대변인 발언에서도 엿볼 수 있다. 북핵·통일 외교가 얼마나 정교해야 하는지 이번 소동은 말해준다.
박 대통령의 방문은 ‘북한의 동아프리카 외교 거점’인 우간다도 유엔의 대북(對北) 제재 결의에 동참하게 함으로써, 북핵 봉쇄를 위한 국제 공조 체제를 굳건히 하려는 시도의 일환이었고, 상당한 성과를 거둔 것으로 보인다. 안보리 결의 제2270호에 따르면 회원국에 군사·준(準)군사 조직 및 경찰 훈련을 위한 훈련관·자문관 초청을 금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간다는 약 50명의 북한 군경(軍警) 교관단을 유지하는 등 ‘국제 공조의 틈새’ 역할을 해 왔기 때문이다. 특히, 오랜 기간 군사 분야에서 북한에 상당히 의지해 왔기에 군사 협력 중단은 쉽지 않은 결정이었을 것이다.
청와대 발표와 우간다 정부 관계자의 발언에는 괴리가 있지만 정황을 종합하면, 북한과의 군사 교류 중단은 사실일 가능성이 커 보인다. 우간다 언론들도 “유엔 제재에 따라 북한과의 협력을 중단한다”는 우간다 외교장관의 발표를 보도하고 있기 때문이다. 다만, 청와대가 앞서 발표해 우간다 정부 입장을 난처하게 만들었거나 우간다 군부 내의 친북 세력을 자극했을 가능성도 있다. 내용 자체보다는 발표를 문제 삼은 우간다 정부 부대변인 발언에서도 엿볼 수 있다. 북핵·통일 외교가 얼마나 정교해야 하는지 이번 소동은 말해준다.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