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현 재단설립준비위원장
“할머니들 생전에 恨 풀어야
피해보상·상처치유 최우선”

명칭 ‘화해와 치유 재단’ 가닥


일본군 위안부 지원재단 설립준비위원장에 내정된 김태현(66·사진) 성신여대 명예교수는 “주변의 위원장직 제안을 몇 번이고 고사할 만큼 부담이 컸던 것이 사실”이라며 “사회적으로 중요한 일이어서 고심 끝에 수락했다”고 30일 밝혔다. 김 교수는 특별한 변수가 없는 한 오는 6월 중 공식 출범하는 재단의 이사장도 맡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김 교수가 위안부 기념관 건립을 정부 예산으로 추진할 계획이어서 10억 엔의 일본 정부 출연 기금을 활용하려는 입장을 가진 정부와 의견 조율이 필요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날 김 교수는 문화일보와의 인터뷰에서 “여성 복지와 노인 복지를 접목해 연구해 왔던 것이 위원장을 맡은 계기가 됐다”며 “평균 나이가 89.4세일 정도로 고령인 위안부 할머니들이 살아계신 동안 한을 풀어야 한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재단이 출범하면 한·일 간 위안부 합의에 반대하는 피해자 단체 분들과도 만나서 소통과 설득 작업을 해 나갈 것”이라며 “피해 당사자인 할머니들이 가장 바라는 것이 피해보상이고 마음의 상처치유이니만큼 이에 최우선으로 귀를 기울여야 한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김 교수는 지난 1월부터 재단설립 준비를 위한 태스크포스(TF)에서 활동해 왔다. 그는 한국여성정책연구원장과 한국여성학회장, 새누리당 제18대 대통령중앙선대위 여성본부장 등을 지냈다.

위안부 기념관과 관련해 김 교수는 정부 예산을 통한 설립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김 교수는 “역사적인 아픔을 기억하고 미래세대에 대한 교육도 담당하는 기념관 설립 사업을 하려고 한다”며 “일본이 10억 엔을 출연해 만든 재단이지만 모든 (위안부 관련) 사업을 우리가 주체적으로 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다만 그는 “한·일 정부의 합의에 기초해 만들어지는 재단이기 때문에 일본 정부와의 소통은 계속적으로 이뤄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우리 외교부 관계자는 “위안부 할머니들에 대한 지원을 중심으로 이뤄질 것”이라고 언급하면서도 “기념사업, 기념관, 추모비 등도 포함돼야 한다”고 밝혀 일본이 출연하는 10억 엔의 용도와 관련해 논란이 예상된다.

재단의 명칭은 당초 ‘나눔’이라는 단어가 들어가는 방안이 검토됐지만 ‘화해와 치유의 재단’ 등으로 가닥이 잡혔다. 김 교수는 “우리가 뭘 하고자 하는지 재단 명칭에서부터 드러나야 한다”며 “재단의 설립 목표가 위안부 할머니들의 상처 치유와 한·일 양국 간, 국내 여러 단체 간 화해에 있는 만큼 연관 단어가 들어가는 방향으로 입장이 정리됐다”고 설명했다.

인지현 기자 loveofall@munhwa.com

관련기사

인지현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