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간다 “北과 軍협력 중단”
한국무기 수입도 논의 전망
“한국발표 틀려” 한때 논란
북한의 전통적 우방인 우간다가 한·우간다 정상회담을 계기로 북한과의 안보·군사협력 중단을 전격 선언한 것과 관련, 우간다 정부가 조만간 우간다 내에 체류 중인 북한 군·경 교관단 50여 명을 철수시키고 재입국을 불허할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우간다는 북한 군내 무기 수리 전문가의 초청도 금지하는 등 추가 조치에 나설 것이라는 전망이다. 우간다는 대신 한국과의 국방 협력 양해각서(MOU)에 따라 한국군으로부터 교관단 및 기술단을 지원받는 것은 물론, 한국 무기 수입에 대한 논의에도 착수하게 된다.
30일 청와대 등 정부는 요웨리 무세베니 우간다 대통령이 지난 29일 박근혜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에서 “우간다는 북한과의 안보, 군사, 경찰 분야에서 협력 중단(disengage)을 포함한 유엔 안보리 결의를 충실히 이행하도록 지시했다”고 밝힌 것을 계기로 우간다 정부가 후속 조치에 착수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청와대의 한 인사는 “무세베니 대통령은 우간다 내에서 절대 권력을 가진 인물”이라며 “대통령의 지시는 곧 이행을 뜻한다”고 말했다.
우간다의 후속조치는 △북한군의 우간다 추방 △북한군 관계자의 입국 금지 △한국과의 군사 교류 강화 등으로 예상된다. 외교부에 따르면 현재 북한의 군·경 교관단은 50여 명으로 우간다 지방에 체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우간다 정부는 북한 군·경 인사의 추가 방문도 제한할 것으로 보인다. 유엔은 최근 북한 군사 관계자가 우간다를 방문한 것이 유엔 대북제재 위반이라고 밝힌 바 있다.
유엔이 북한군 관계자의 우간다 입국을 예의주시하는 가운데 무세베니 대통령의 유엔 안보리 결의 이행 지시는 이들의 입국 금지 의미도 담겨있다는 게 정부의 해석이다.
북한과의 교류 단절과 함께, 우간다 국방부는 전날 한국 국방부와 교육훈련, 방위산업, 군사기술 교유 등의 내용을 핵심으로 한 국방 협력 MOU를 체결한 바 있다.
박 대통령은 전날 우간다 수도 캄팔라 시내의 한 호텔에서 열린 문화공연 행사에 참석, “양국이 앞으로 문화 교류에도 힘을 쏟아서 양국 국민이 마음을 나눌 수 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샤반 반타리자 우간다 정부 부대변인은 우간다와 북한의 군사협력 중단과 관련해 AFP 통신에 “대통령이 그런 지시를 공개적으로 한 적이 없다”며 “사실이 아니며 선전일 뿐”이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청와대 관계자는 “우간다 외교부 장관이 현지 TV에 출연해 한국 발표가 맞다고 말했다”면서 “우간다 정부 부대변인의 개인적 견해인 것 같다”고 설명했다.
캄팔라 = 김만용 기자 mykim@munhwa.com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