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우조선 경영진 비리 등 포착
産銀 정책결정과정 비위 의혹
정관계 유착 수사확대 가능성
검찰 부패범죄특별수사단(단장 김기동 검사장)이 8일 오전 경영 부실 은폐 의혹 등이 제기된 대우조선해양과 산업은행을 동시에 압수수색했다. 대검찰청 중앙수사부가 폐지된 후 대형 비리 수사를 전담하기 위해 설치된 부패범죄특수단이 지난 1월 정식 출범한 이후 5개월 만에 수사에 착수한 첫 사건이다.
검찰은 ‘비리백화점’으로 불리는 대우조선해양의 부실 경영, 경영진의 비리 의혹, 분식회계 등에 대해 본격적으로 수사에 나설 방침이다. 또 산은 조선업경영정상화지원단 압수수색을 통해 대우조선해양에 대한 정책 결정 과정에서의 비위 문제도 수사할 예정이다. 향후 구조조정 국면과 맞물려 조선·해운업계 전반의 부실 경영 문제나 금융감독당국 등 정·관계와의 유착 등으로 검찰 수사가 확대될 가능성도 열려 있다.
부패범죄특수단은 이날 서울 중구의 대우조선해양 본사와 경남 거제시 옥포조선소, 여의도 산은 본사 내 조선업경영정상화지원단 등에 검사와 수사관 150여 명을 파견해 압수수색을 벌였다. 검찰은 압수수색 전 이미 대우조선해양이 회사 부실을 은폐하기 위해 수년간 분식회계를 저지른 단서, 경영진이 비리를 저지르고 이를 은폐한 정황 등을 포착한 것으로 알려졌다. 압수수색을 통해 이를 뒷받침할 내부 문건, 회계 장부, 컴퓨터 하드 디스크 등을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남상태·고재호 전 사장 등 경영부실에 책임이 있는 것으로 지목된 전직 CEO들은 이미 출국금지된 상태다. 남 전 사장은 2006년 3월부터 2012년 3월까지, 고 전 사장은 2012년 3월부터 지난해 5월까지 사장직을 역임했다. 부패범죄특수단은 기존에 축적해 둔 대우조선해양의 범죄 첩보와 함께 남 전 사장을 수사하던 서울중앙지검, 고 전 사장을 수사하던 창원지검으로부터 사건을 이첩받아 본격적인 수사에 나선 것으로 전해졌다.
대우조선해양은 그간 각종 경영 부실 의혹이 제기돼 왔다. 대우조선해양 감사위원회는 자발적으로 지난해 9월과 올해 1월 남 전 사장과 고 전 사장에 대해 각각 검찰에 진정서를 제출한 바 있다. 검찰 관계자는 “의혹을 규명하기 위한 증거 확보 차원”이라며 “수사 초기로, 범죄혐의가 구체적으로 확인된 상태는 아니다”고 말했다.
하지만 부패범죄특수단이 지난 5개월간 고르고 고른 첫 수사인 만큼 검찰의 칼날이 대우조선해양을 넘어 대주주인 산은과 금융감독당국, 대우조선해양의 부실 경영을 방조한 정·관계 인사들로 수사가 확대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민병기·정철순 기자 mingming@munhwa.com
관련기사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