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 부패범죄특별수사단이 대형비리 수사 제1호로 대우조선해양의 경영비리 의혹을 정조준하고 나섰다. 대형 부패범죄를 응징하기 위해 지난 1월 출범한 특수단이 5개월 만에 착수한 첫 수사 대상이 대우조선이라는 사실은 수조 원대의 혈세 투입에도 부실이 개선되긴커녕 자력 회생 가능성으로부터 점점 멀어져 구조조정의 고통을 배가해온 ‘경영 부패’에 대한 국민적 지탄 때문일 것이다. 대우조선 경영 범죄 혐의는 나날이 증폭돼 급기야 홍기택 전 KDB금융그룹 회장 겸 산업은행장이 낙하산 인사 및 부당 지원 등에 대해 ‘폭로성 인터뷰’를 하기에 이르렀다. 검찰은 분식회계 등 이미 특정된 범죄 혐의는 물론 그 배경이 된 권력·정치권·관료 유착 의혹에 이르기까지 전모를 파헤쳐야 한다.

특수단은 8일 대우조선 서울 본사와 경남 거제 옥포조선소 등을 대대적으로 압수수색했다. 지난달 10일 창원지검이 남상태·고재호 두 전임 사장의 분식회계 및 배임 혐의를 들어 취한 출국금지 조치를 이첩받아 전국 차원의 반부패 수사 대상으로 포괄한 것이다. 2013년과 2104년 각각 4409억 원, 4711억 원의 영업이익을 공시했다가 올들어 2013~2015년 누적 적자가 2조6000억 원대라고 정정한 사실만으로도 가공할 죄상의 일단을 짚어볼 수 있다. 이런 비리마저 ‘거악(巨惡)의 한 단면’에 불과할지 모른다. 노·사가 한통속으로, 1987년부터 투입된 혈세 6조5000억 원을 갉아먹어온 전말도 제대로 가려야 할 것임은 물론이다.

산업은행이 대우조선의 대주주임을 고려할 때, 2013년부터 3년 가까이 재직하다 지난 2월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의 ‘한국 몫’ 부총재로 옮긴 홍 전 회장의 책임 역시 가볍지 않을 것이다. 그럼에도 그는 산업은행 주요 인사를 청와대 및 금융 당국이 나눠먹기 한 사실, 인사권 왜곡으로 인한 난맥, ‘청와대 서별관 회의’의 문제점과 부당한 압박 등을 구체적으로 제시했다. 아직 일방적 주장이므로 사실 관계는 더 밝혀져야 할 것이지만 주요 당사자의 직접 증언인 만큼 철저한 규명이 필요하다. 특수단이 의지와 역량을 집중해 이런 경영 부패의 전모(全貌)를 명명백백히 밝히고 엄벌함으로써 거악 척결의 전기(轉機)로 자리잡게 할 책임이 무겁다.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