檢, 해양플랜트 외에도 포착
대우조선 관계자들 진술 확보
프로젝트별 자료 분석도 착수


대우조선해양의 경영 비리를 수사 중인 검찰이 대우조선해양의 주력인 선박 관련 프로젝트에서도 수조 원대 분식회계를 발견한 것으로 알려졌다. 해양플랜트 외에 대우조선해양의 주력 사업에서도 분식회계가 이뤄진 것은 지난 10여 년간 대우조선해양의 부실 경영·비리 경영과 이에 대한 은폐가 조직적으로 이뤄졌다는 점에서 파장이 클 전망이다. 검찰은 조만간 남상태(66) 전 사장을 소환 조사할 방침이다.

20일 법조계 등에 따르면 검찰 부패범죄특별수사단(단장 김기동 검사장)은 2006년 이후 대우조선해양이 진행했던 500여 건의 프로젝트 사업을 전수조사 하는 과정에서 기존 감사원에서 밝힌 1조5000억 원 규모를 훌쩍 넘는 분식회계 정황을 포착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그간 알려진 2013∼2014년 해양플랜트 사업 외에도 2006년부터 추진했던 400여 건에 달하는 선박 사업에서도 수조 원의 분식회계가 이뤄진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검찰은 이와 관련한 대우조선해양 관계자들의 진술도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정확한 분식 규모 등을 따지기 위해 각 프로젝트 별로 일일이 회계 자료 분석에 나선 상황이다. 이를 위해 금융감독원 등에서 회계사 자격증이 있는 직원들을 파견받기도 했다. 이는 그간 분식회계는 대우조선해양이 해양플랜트 사업을 새로 개척하는 과정에서 변수가 많은 해양플랜트 사업의 특성상 불가피하게 이뤄졌다는 해명을 뒤집는다는 의미가 있다.

한 회계법인 관계자는 “주력 사업에서 수년간 수조 원대 분식회계가 있었다는 것은 고의적이고 조직적인 회계 부정 정황으로 판단할 수 있다”며 “CEO의 의지가 반영됐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남 전 사장 관련 비리 수사도 속도를 내고 있다. 이미 남 전 사장의 대학 동창 정모(65) H사 대표가 구속된 데 이어 계열사 전무를 지내기도 했던 건축가 이창하(60) 씨 역시 이르면 금주 중 소환 조사할 방침이다.

검찰은 남 전 사장이 서울 영등포구 당산동 사옥 매입, 오만의 선상 호텔 프로젝트 추진 등의 과정에서 이 씨에게 특혜를 준 의혹 등을 따져 물을 방침이다. 특히 검찰은 이 과정에서 이 씨가 취한 이득이 결국 남 전 사장의 비자금으로 전용됐을 가능성도 조사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이 씨와 남 전 사장이 불법적으로 취한 이득은 수백억 원대에 이를 수도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민병기 기자 mingming@munhwa.com
민병기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