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당 선거 홍보비 리베이트 수수 의혹 사건과 관련해 28일 오전 구속영장이 발부된 왕주현(왼쪽) 사무부총장이 서울서부지검에서 나와 구치소로 향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당 선거 홍보비 리베이트 수수 의혹 사건과 관련해 28일 오전 구속영장이 발부된 왕주현(왼쪽) 사무부총장이 서울서부지검에서 나와 구치소로 향하고 있다. 연합뉴스
자정 넘어 왕주현 구속되자
긴급 연락해 6시에 최고위
워크숍 진행뒤 곧바로 의총


왕주현 사무부총장이 4·13 총선 홍보비 리베이트 의혹 사건으로 구속된 28일 새벽 국민의당은 포격이라도 맞은 듯 분주했다. 최고위원들에게 긴급회의 소집 사실이 통보됐고 오전 5시가 조금 넘은 시간에 당직자들은 국회에 나와 회의를 준비했다.

사태의 심각성을 반영하듯 오전 6시부터 시작된 긴급최고위원회의에는 현직 대전 동구청장인 한현택 최고위원을 제외하고 안철수·천정배 공동대표, 박지원 원내대표, 김성식 정책위 의장, 박주선·박주현·이상돈·이준서 최고위원 등이 모두 참석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왕 부총장과 김수민·박선숙 의원의 출당 등 징계문제를 논의했다. 참석자들은 “사태가 엄중한 만큼 일괄 출당이 맞다”고 의견을 모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 과정에서 천 공동대표는 “무죄 추정의 원칙에 따라 당헌·당규대로 기소될 경우 당원권 정지가 맞다”며 반대 의견을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참석자 대부분이 일괄 출당을 주장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날 오전 7시로 예정된 ‘한국경제 재도약을 위하여’라는 주제의 워크숍은 예정대로 진행했다. 의원 전원이 참석 대상자였지만 잠정적으로 출당 결정이 내려진 김 의원과 박 의원은 참석하지 않았다. 이어 오전 9시로 예정된 원내대책회의를 취소한 뒤 오전 8시 30분부터 의원총회를 열어 왕 부총장과 김·박 의원에 대한 징계를 논의했다.

회의 중간에 잠시 나온 한 의원은 “왕 부총장과 김·박 의원의 처리 방안에 대해서만 이야기하고 있다”며 “지도부 책임론이 제기됐지만 사퇴 주장은 없었다”고 전했다. 의총은 1시간 20분가량 진행됐지만 3명의 출당 조치에 대한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 이에 따라 오후에 다시 최고위원회의와 의총을 열기로 했다. 의총에 참석했던 한 의원은 “최고위원회의에서 결정해서 의총에서 추인을 받게 될지, 거기서 새로운 의사결정을 해서 의견을 좀 더 광범위하게 수렴하는 식이 될지는 정해지지 않았다”고 말했다.

신선종·김다영 기자 hanuli@munhwa.com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