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주현 구속에 수사 탄력
‘자금 조성’연결고리 파악


4·13 총선 당시 국민의당 리베이트 수수 의혹을 수사 중인 검찰이 김수민 의원과 왕주현 사무부총장, 박선숙 의원(당시 사무총장) 사이에 불법 정치자금 조성을 논의한 ‘연결 고리’를 파악하고 사법 처리 수위를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전날 검찰에 소환된 박 의원이 28일 오전 돌아가고, 왕 부총장이 이날 구속, 서울남부구치소에 수감되면서 검찰 수사는 한층 탄력을 받게 됐다.

검찰은 먼저 김 의원에 대해 구속영장 청구를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당이 브랜드호텔에 줘야 할 돈을 선거공보 제작업체 B사, TV 광고 대행업체 S사 등에 대납시킨 행위가 정치자금법 등 위반인데, 대납 구조를 만드는 과정에서 공모관계가 인정되면 브랜드호텔 대표 출신인 김 의원도 위법행위를 한 것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김 의원은 S사를 당에 소개한 장본인이며, 비례대표 공천 다음날인 3월 24일 브랜드호텔 대표에서 물러난 뒤에도 회사 대표 이메일 계정을 사용해 S사 등에 홍보 업무를 지시한 것으로 파악됐다.

박 의원은 서울서부지검 형사5부(부장 김도균)에서 약 17시간에 걸쳐 고강도 조사를 받고 오전 2시 45분쯤 청사를 나왔다. 박 의원은 “검찰 조사에 성실히 임했다”면서도 왕 부총장 구속에 대해서는 “할 말이 없다”고만 했다. 왕 부총장은 서울서부지법에서 구속영장이 발부된 뒤, 오전 1시쯤 서울남부구치소로 이송되기 전 기자들에게 “구속됐으니 재판 과정이 빨라질 것이고, 좀 더 빨리 진실이 밝혀질 것”이라고 주장했다.

앞서 김 의원이 “왕 부총장 지시로 브랜드호텔이 B사와 계약했다”고 진술하면서 이미 김수민-왕주현 연결 고리는 밝혀진 바 있다. 또 왕 부총장은 “돈 문제는 박 의원에게 모두 보고했다”고 진술했던 것으로 알려져 사전 리베이트 수수와 관련해 박 의원에 대한 연결고리를 완성한 것으로 분석된다.

김수민 기자 human8@munhwa.com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