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철수 국민의당 대표가 29일 ‘리베이트 사건’의 책임을 지고 천정배 공동대표와 동반 사퇴키로 했다. 만시지탄이다. 국민의당이 창당 4개월여, 총선에서 예상을 뛰어넘어 38석을 확보한 지 2개월여 만에 큰 위기에 봉착했다. 거대 양당의 적대적 공생을 깨겠다며 ‘새정치’를 내세우고, 많은 국민이 호응했던 사실에 비춰보면 안타까운 일이다. 그러나 최근 총선 비용 ‘리베이트 사건’에 대한 국민의당 대응을 보면 국민에게 약속한 새정치와 거리가 한참 멀었다는 점에서 안 대표가 자초한 일이나 다름없다.
국민의당은 지난 1월 창당 발기문에서 ‘부패 척결과 합리적 개혁’을 제1의 지향으로 제시하고 “새정치의 대장정에 함께 해 달라”고 호소했었다. 또 안 대표는 “부패 관련자는 영구 퇴출시켜야 한다”, “부패 비리로 의원직을 상실할 경우 해당 정당은 재·보궐선거에 후보를 공천할 수 없도록 하고, 비례대표의 경우 차순위 후보의 승계를 금지해 의석을 공석으로 남겨야 한다”는 등 무관용 원칙을 강조했었다.
그런데 막상 자신의 측근과 관련된 문제에 대해서는 미지근한 대응으로 일관해 왔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 고발로 사건이 불거진 뒤에도 제대로 진상 조사를 않고 “당 차원의 혐의는 없다”며 감싸기에 급급했다. 왕주현 전 사무부총장이 구속된 28일 국민의당은 최고위원회의와 의원총회를 잇달아 열었지만, 박선숙·김수민 의원 등 관련자들에 대해 ‘기소될 경우 당원권 정지’ 결정을 했을 뿐이다.
그래도 국민의당은 좀 나을 것이란 기대를 걸었던 국민 입장에서는 허탈하기 짝이 없다. 그간의 공약과 국민 기대에 부응하려면 가혹하다고 할 정도의 조치가 필요하다. 대법원 확정 판결까지는 무죄 추정 운운하며 사실상 임기를 다 채우는 것이 구태(舊態)의 수법이다. 사법적 단죄에 앞서 강력하고 신속하게 정치적 책임을 물어야 한다. 지금이라도 더 엄정한 자체 조사를 다시 하고, 조금이라도 의문이 가면 두 의원은 의원직에서 사퇴시키는 게 옳다. 두 대표의 사퇴가 국민의당이 전면 쇄신하는 계기가 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국민의당은 지난 1월 창당 발기문에서 ‘부패 척결과 합리적 개혁’을 제1의 지향으로 제시하고 “새정치의 대장정에 함께 해 달라”고 호소했었다. 또 안 대표는 “부패 관련자는 영구 퇴출시켜야 한다”, “부패 비리로 의원직을 상실할 경우 해당 정당은 재·보궐선거에 후보를 공천할 수 없도록 하고, 비례대표의 경우 차순위 후보의 승계를 금지해 의석을 공석으로 남겨야 한다”는 등 무관용 원칙을 강조했었다.
그런데 막상 자신의 측근과 관련된 문제에 대해서는 미지근한 대응으로 일관해 왔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 고발로 사건이 불거진 뒤에도 제대로 진상 조사를 않고 “당 차원의 혐의는 없다”며 감싸기에 급급했다. 왕주현 전 사무부총장이 구속된 28일 국민의당은 최고위원회의와 의원총회를 잇달아 열었지만, 박선숙·김수민 의원 등 관련자들에 대해 ‘기소될 경우 당원권 정지’ 결정을 했을 뿐이다.
그래도 국민의당은 좀 나을 것이란 기대를 걸었던 국민 입장에서는 허탈하기 짝이 없다. 그간의 공약과 국민 기대에 부응하려면 가혹하다고 할 정도의 조치가 필요하다. 대법원 확정 판결까지는 무죄 추정 운운하며 사실상 임기를 다 채우는 것이 구태(舊態)의 수법이다. 사법적 단죄에 앞서 강력하고 신속하게 정치적 책임을 물어야 한다. 지금이라도 더 엄정한 자체 조사를 다시 하고, 조금이라도 의문이 가면 두 의원은 의원직에서 사퇴시키는 게 옳다. 두 대표의 사퇴가 국민의당이 전면 쇄신하는 계기가 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