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면 가장자리 곡면처리- 고동진사장 美서 기자 간담회

“디자인 차별화·그립감 탁월
소비자들 반응 점점 좋아져
홍채인식, 중급폰까지 확대
다시 한번 글로벌시장 주도”


향후 삼성전자 전략 스마트폰은 ‘듀얼 엣지’(양면 가장자리 곡면 처리)가 기본형이 될 전망이다. 갤럭시노트7에 처음 탑재된 홍채인식 기능은 미드엔드(중급) 스마트폰까지 확대된다. 이에 따라 업계에서는 삼성전자가 기존 노트 시리즈로 ‘대화면’ 스마트폰 카테고리를 처음으로 개척, 글로벌 표준화한 데 이어 듀얼 엣지와 홍채인식을 통해 다시 한 번 글로벌 스마트폰 업계를 주도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고동진(사진) 삼성전자 무선사업부장(사장)은 2일(현지시간) 하반기 전략 스마트폰 갤럭시노트7 공개 행사가 열린 미국 뉴욕 현지에서 기자 간담회를 열고 “듀얼 엣지 디스플레이를 갤럭시 스마트폰의 정체성(아이덴티티)으로 가져갈 계획”이라면서 “처음에는 듀얼 엣지 디스플레이에 대해 호불호가 엇갈렸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차별화된 디자인과 뛰어난 그립감 등으로 소비자들의 반응이 좋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 2일 공개된 갤럭시노트7은 듀얼 엣지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첫 노트 시리즈이자, 갤럭시 시리즈를 통틀어 평면(플랫) 모델 없이 엣지로만 출시되는 첫 제품이다. 듀얼 엣지를 처음 탑재했던 갤럭시S6 시리즈의 경우 플랫 모델과 엣지 모델 판매 비중이 약 7대 3이었으나 갤럭시S7 시리즈의 경우 엣지 모델의 판매 비중이 50%를 넘어서는 등 인기가 점차 높아지고 있는 데 따른 것이다.

향후 출시되는 삼성전자 프리미엄 스마트폰의 경우 엣지 모델이 ‘기본형’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엣지 모델의 경우 출고가도 일반 모델보다 높아 수익성 측면에서도 낫다는 평가다. 특히 고 사장은 엣지 디스플레이 활용과 관련해 “제3의 개발자(서드파티·3rd part)들이 더 많이 필요하다”며 엣지 활용 애플리케이션 개발자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도 시사했다.

갤럭시노트7에 처음 탑재된 홍채인식은 미드엔드 스마트폰까지 확대될 전망이다. 고 사장은 “플래그십뿐만이 아니라 미드엔드까지는 홍채인식이 내려올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그냥 화면 잠금 해제(Unlock)하려고 홍채인식을 개발한 게 아니다”면서 “홍채인식 관련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 공개를 통해 서드파티 애플리케이션에서도 활용될 수 있게 하는 등 큰 로드맵을 가지고 움직이고 있다”라고 말했다.

고 사장은 차세대 스마트폰으로 주목받는 ‘폴더블(접히는) 스마트폰’ 상용화에도 강한 의지를 내비쳤다. 그는 “폴더블폰은 디바이스 측면에서 디스플레이, 배터리 등 산업으로의 파급효과가 큰 분야로 삼성전자가 꼭 하고 싶은 분야”고 말했다.

뉴욕=임정환 기자 yom724@munhwa.com
임정환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