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자체 농민돕기 발빠른 대응

선물 상한액 5만원 전제
경북도 제작비 5억 지원
학교·군부대에 확대 공급
박람회 열어 마케팅 나서


지방자치단체들이 일명 ‘김영란법’(부정청탁 및 금품 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률) 시행 후 어려움을 겪을 농어민을 위해 소(小)포장재 제작비 지원과 마케팅에 착수하는 등 대책 마련에 나섰다. 법 시행령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지만 일단 ‘선물 상한액 5만 원’을 전제로 한 발빠른 조치다.

18일 각 시·도에 따르면 경북도, 전남도, 강원도 등 상당수 지자체들이 5만원을 초과하는 특산품 생산자에 대해 소포장재 제작비를 지원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경북도는 이미 농어가에 지원할 소포장재 지원 예산 5억 원을 책정하기로 했다.

일부 시·군은 김영란법 시행 후 예상되는 파장을 분석한 뒤 대책을 마련하는 면밀함을 보이고 있다. 경북 포항시는 김영란법이 시행될 경우 포항지역의 피해액을 총 50억 원으로 추산했다. 시는 특히 지난해 추석선물세트 매출에서 5만 원 이상 비중이 지역백화점 85%, 대형 마트 30%인 점으로 미뤄 대형 유통매장에 납품하는 농업인의 피해가 클 것으로 전망했다.

이에따라 시는 과일의 크기 및 개수를 줄인 ‘알뜰사과-배세트’를 개발하고 새로운 포장재 제작을 지원하기로 했다. 전남 신안군은 관내 32개 농수산물 가공업체가 출시하는 농수특산품 180개 중 22개(농산물 19개, 수산물 3개)가 5만 원 이상으로 조사됨에 따라 소포장 박스 지원사업을 하기로 했다.

수산물의 경우 최근 해양수산부 회의에서 전남도와 경남도 등이 소포장재 제작비와 택배비 지원을 건의해 정부 수용 여부가 주목된다. 수협 중앙회의 분석에 따르면 김영란법 시행 후 굴비는 1149억 원, 전복은 625억 원 피해가 날 것으로 추산됐다

지자체들은 판매 부진을 타개하기 위한 마케팅에도 나섰다. 경북도는 새로운 소비수요 창출을 위해 학교 간식에 과일을 지원하고, 군부대 등 단체 급식에 농축산물을 확대 공급하는 방안을 정부와 협의키로 했다. 도는 이를 위한 마케팅 비용으로 80억 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전남도는 김, 미역, 소금 등 해조류 선물세트의 경우 대부분 5만 원 미만으로 가격 대비 품질과 맛이 우수해 김영란법 시행 후 인기를 끌 것으로 보고 박람회, 판촉행사 등을 통해 판로를 키울 계획이다.

광주=정우천·포항=박천학 기자 sunshine@munhwa.com,전국종합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