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번 생기면 자국이나 흉터로 이어져 피부 복원이 힘든 여드름. 최근 여드름 환자가 꾸준히 늘고 있다.
 7일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지난해 여드름으로 병원을 찾는 환자가 2010년에 비해 9.7% 늘었다. 특히 10대(31.1%) 보다 20대(43.1%)가 더 많았고, 남성도 19.3%나 증가했다.
 여드름은 어떻게 관리하고 예방해야 할까. 여드름 해결 7대 원칙을 이상준 강남 아름다운나라피부과 원장(피부과 전문의)을 통해 살펴봤다.
 ◇제 1계명 “10대부터 치료하라”=건강보험 통계를 보면 10대 여드름 환자(31.1%)는 20대(43.1%) 다음으로 많았다. 10대는 2차 성징과 호르몬 등으로 여드름이 시작되는 시기다. 건보공단은 20대가 10대보다 병·의원을 찾을 여유와 기회가 많은 것을 이유로 분석했다. 즉, 10대 여드름 환자 대다수가 병원을 찾기보다 자가치료를 하거나 화장품으로 가리는 등 방치하고 있다는 것이다. 여드름이 발생하는 초기에 치료를 시작해야 성인 여드름으로 진행되지 않고, 피부가 원래대로 돌아올 수 있다.
 ◇제 2계명 “오일클렌징은 절대 금물”=잘못된 클렌징은 여드름의 직격탄이 될 수 있다. 제대로 씻지 않으면 피부에 각종 먼지와 화장품, 땀, 피지 등이 뒤엉켜 모공을 막고 여드름이 생긴다. 무엇보다 화장을 제대로 지우지 않으면 염증이 심해지거나 좁쌀 여드름이 생기기도 한다.
 특히, 여드름 환자는 화장을 지울 때 오일클렌징을 사용하면 안된다. 오일이 피부에 남아 문제를 일으킬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대신 항균 성분이 들어 있거나 유분과 자극이 적은 폼, 파우더, 무스형의 가벼운 세안제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세안 시 너무 세게 문지르거나 과도한 각질제거는 피부에 자극을 가해 염증을 유발할 수 있다.
 ◇제 3계명 “3가지 화장품 성분을 명심하라”=병원을 찾는 여드름 환자 중 20대 여성이 장 많은 이유는 사회활동 시간이 늘며 필요성과 외모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것도 관련이 있다. 화장품 사용과 연관성이 깊다. 여드름이 나기 시작했다면 연령과 상관없이 진정과 항염 효과가 있는 티트리오일, 살리실산, 아젤라익산이 들어있는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티트리오일은 항염과 항균에 효과가 있다. 살리실산은 각질을 효과적으로 녹여주며, 아젤라익산은 염증을 진정시키는데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화장품 구입 전 성분을 꼼꼼하게 확인할 필요가 있다.
 ◇제 4계명 “여드름 유발·악화하는 5가지 화장품 성분은 피해라”=여드름 환자가 반드시 피해야 할 성분도 있다. 여드름에 악영향을 미치는 대표적인 성분은 비즈왁스, 올리브오일, 코코넛오일, 피너츠오일, 페트롤라툼이다. 이 성분은 지성 피부에 유분을 공급해 피지 분비를 더욱 왕성하게 하여 여드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을 삼가야 한다.
 ◇제 5계명 “남성 여드름, 화장품 개수 줄여라”=남성 피부는 선천적으로 여성보다 피지 분비량이 많고 안드로겐(남성 호르몬)이 활발히 분비돼 낭포성 여드름이 생겨 흉터로까지 이어지기 쉽다. 최근 남성들이 사용하는 화장품의 종류가 많아진 것도 남성여드름의 원인으로 꼽을 수 있다.
 무엇보다 군대에서 제대로 피부를 관리하지 않아 여드름이 악화돼 여드름 흉터로 남고 피부 복원이 힘든 경우가 많다. 무턱대고 화장품을 다양하게 사용하는 것보다 살균이나 수렴 성분이 들어 있는 제품 한 종류와 자외선 차단에 신경 쓰는 것이 현명하다.
 ◇제 6계명 “GLI (Glycemic Load Index,당부하지수) 10 이하 음식을 찾아라”=여드름을 완화하기 위해선 ‘GLI 10 이하’의 음식을 섭취하는 것이 도움된다. 당부하지수란 기준이 되는 탄수화물의 혈당 반응에 대해 테스트 음식의 혈당반응 비율에 100을 곱한 수치다. 녹황색 음식이 해당된다.
 ◇제 7계명 “GLI 20 이상 음식은 절대 삼가라”=반면 GLI 20 이상인 햄버거와 도너츠, 떡, 라면, 콜라 등은 여드름 환자에서 최소 17%에서 최대 50% 이상 여드름이 발병되거나 악화 위험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오드 성분이 들어있는 해조류도 여드름에 악영향을 미친다.
 식사 습관도 여드름 악화 요인이다. 여드름 환자의 58%가 불규칙하게 식사했으며, 정상인은 29%만이 불규칙한 식사습관을 갖고 있었다. 또 여드름 환자는 아침을 거르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상준 원장은 “최근 10대뿐 아니라 20~30대 성인과 남성들도 여드름으로 고민하는 사람이 늘고 있지만, 스스로 치료하거나 잘못 알려진 정보로 인해 증상이 심해지는 경우가 많다”며 “여드름 치료 시기가 미뤄질수록 피부 회복력이 둔화돼 정상 피부로 복원이 힘들 수 있으므로 피부과 전문의 진료 후 알맞은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이용권 기자 freeuse@munhwa.com
이용권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