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남북관계 사상 최악”
박원순 “2018년 새 10·4선언”
야권의 유력 대선 후보들이 안보 위기를 계기로 박근혜정부의 대북정책을 비판하는 등 안보 문제에 대한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북한의 핵실험 및 미사일 발사 등으로 고조된 안보 위기에 대한 박근혜정부의 책임론을 부각시키면서 동시에 내년 다가올 대선에서 안보 이슈를 선점하기 위한 선행 조치로 풀이된다.
야권 대선 후보로 꼽히는 김부겸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4일 논평을 통해 “김대중 전 대통령의 남북정상회담을 더욱 발전시킨 노무현 전 대통령과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10·4 남북정상선언은 한반도경제공동체를 향한 새로운 이정표였다”고 평가한 뒤 “이명박정부와 박근혜정부 동안의 대북 대결 정책으로 동북아 정세는 격화됐고 북한의 핵무기 개발로 남북관계는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었다”고 주장했다.
3일 열린 10·4 남북정상선언 기념식에서도 이 자리에 참석한 야권 대선 주자들은 직설적으로 안보 및 대북정책에 대한 의견을 피력했다. 문재인 전 더민주 대표는 건배사에서 “사상 최악의 남북관계, 사상 최대의 안보 위기는 박근혜 정권의 안보 무능과 무책임이 만들어낸 결과”라며 “해법은 남과 북이 합의의 정신으로 돌아가는 것”이라고 말했다.
박원순 서울시장도 이 자리에서 “2018년에는 대한민국 정부에서 공식적으로 10·4 기념행사를 하자”며 우회적으로 정권 교체를 다짐했다.
이 같은 야권의 움직임에 대해 정진석 새누리당 원내대표는 4일 최고위원·상임위원장단·간사단 연석회의에서 “북한에 유화적 움직임을 보이는 것은 북한을 더욱 담대하게 만들 뿐”이란 크리스토퍼 힐 전 미국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의 말을 인용했다. 정 원내대표는 “우리 사회의 섣부른 대북 사회 지원 주장은 자칫하면 북핵 위기를 심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며 “문 전 대표 등 일부 인사들은 (힐 전 차관보의) 이런 주장에 귀를 기울여 주셨으면 한다”고 반박했다.
김다영·박세희 기자 dayoung817@munhwa.com
박원순 “2018년 새 10·4선언”
야권의 유력 대선 후보들이 안보 위기를 계기로 박근혜정부의 대북정책을 비판하는 등 안보 문제에 대한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북한의 핵실험 및 미사일 발사 등으로 고조된 안보 위기에 대한 박근혜정부의 책임론을 부각시키면서 동시에 내년 다가올 대선에서 안보 이슈를 선점하기 위한 선행 조치로 풀이된다.
야권 대선 후보로 꼽히는 김부겸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4일 논평을 통해 “김대중 전 대통령의 남북정상회담을 더욱 발전시킨 노무현 전 대통령과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10·4 남북정상선언은 한반도경제공동체를 향한 새로운 이정표였다”고 평가한 뒤 “이명박정부와 박근혜정부 동안의 대북 대결 정책으로 동북아 정세는 격화됐고 북한의 핵무기 개발로 남북관계는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었다”고 주장했다.
3일 열린 10·4 남북정상선언 기념식에서도 이 자리에 참석한 야권 대선 주자들은 직설적으로 안보 및 대북정책에 대한 의견을 피력했다. 문재인 전 더민주 대표는 건배사에서 “사상 최악의 남북관계, 사상 최대의 안보 위기는 박근혜 정권의 안보 무능과 무책임이 만들어낸 결과”라며 “해법은 남과 북이 합의의 정신으로 돌아가는 것”이라고 말했다.
박원순 서울시장도 이 자리에서 “2018년에는 대한민국 정부에서 공식적으로 10·4 기념행사를 하자”며 우회적으로 정권 교체를 다짐했다.
이 같은 야권의 움직임에 대해 정진석 새누리당 원내대표는 4일 최고위원·상임위원장단·간사단 연석회의에서 “북한에 유화적 움직임을 보이는 것은 북한을 더욱 담대하게 만들 뿐”이란 크리스토퍼 힐 전 미국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의 말을 인용했다. 정 원내대표는 “우리 사회의 섣부른 대북 사회 지원 주장은 자칫하면 북핵 위기를 심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며 “문 전 대표 등 일부 인사들은 (힐 전 차관보의) 이런 주장에 귀를 기울여 주셨으면 한다”고 반박했다.
김다영·박세희 기자 dayoung817@munhwa.com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