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차 산업혁명에 따른 변화에 적기에 적응하지 못하면 5년 이내에 한국 제조업이 큰 위기를 맞을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만시지탄의 감이 있지만 지금부터라도 발 빠르게 대응하지 못하면 국가 경제 전체가 자칫 휘청거릴 수 있다는 게 요지다.
임채성(사진) 건국대 경영대 교수는 지난 3월 한국개발연구원(KDI)에서 발간한 저널 ‘나라경제’에 기고한 칼럼을 통해 “향후 5년 내에 제조업 위기가 찾아올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범국가적인 4차 산업혁명 대비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임 교수는 “4차 산업혁명에서는 제조업 분야에서도 정보통신기술(ICT) 분야와 같이 소프트웨어의 중요성이 커진다”면서 “4차 산업혁명이 한국 기업의 선도적 대량생산 방식 제조 역량에서의 경쟁우위를 갉아먹는다는 점에서 한국 기업이 향후 5년 전후로 역량 감소로 인한 위기에 직면할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했다. 제조업에서도 소프트웨어 비중이 커지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현재와 같은 대량생산에 의존하면 매우 위험하다는 뜻이다.
임 교수는 “미국 엑스원(ExOne)은 금속프로펠러 부품을 주문 고객의 요구사항에 맞춰 일일이 소량 생산으로 제조하는데, 이 같은 맞춤형 제작이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일반화될 것”이라고 예시를 든 후 “이 경우 일괄적으로 같은 크기 부품을 대량생산하는 한국 기업의 수출 경쟁력은 낮아진다”고 경고했다.
한국은 3D프린팅을 이용한 제조 방식 혁신에서도 선진국과 견줘 뒤처져 있다고 임 교수는 설명했다. 임 교수는 “10여 년간 3D프린팅 기술을 이용한 제조 방식을 준비해온 선도국 기업은 제품 개발과정에서 3D프린팅 기술의 적용을 확대하는 한편, 제조과정에 적용함으로써 3D프린팅을 매개로 한 전사적 제품·공정혁신 프로세스 구축에 지속적 투자를 하고 있다”며 “반면 한국 기업은 3D프린팅 기술을 제품 개발 과정에 적용하는 것뿐 아니라 제조 방식에서도 뒤처져 있고 투자도 적극적으로 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임 교수는 “4차 산업혁명은 특정 부처 차원의 대응만으로는 해결하기 어려운 범국가적인 이슈이기 때문에 미국이나 독일의 경우에는 대통령실·총리실 차원에서 개입해 다루고 있다”고 재차 시급함을 강조했다. 임 교수는 “늦었다고 생각할 때가 가장 빠른 것”이라며 지금이라도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범국가적 차원에서 대비할 것을 권고했다.
최재규 기자 jqnote91@munhwa.com
관련기사
주요뉴스
시리즈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