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반성장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는 이장우(사진) 경북대 경영학부 교수는 2일 맞춤형 동반성장의 의미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이 교수는 “어떤 시스템이든지 자금지원, 연구·개발, 공동개발, 영업지원 등 각 기업에 맞게 적용돼야 한다”면서 “대기업 입장에서 일방적으로 도움을 주는 게 아니라 업계 특성에 맞춘 협력을 하면서 서로 상생하는 시너지가 더욱 극대화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교수의 설명에 따르면 동반성장 정책 초기에 대기업이 일방적 지원을 했던 것이 1단계, 맞춤형 지원이 정착되는 것이 2단계, 그 맞춤형 지원이 더욱 활성화돼서 중소기업뿐 아니라 대기업도 이를 통해 성장할 수 있는 것을 3단계로 분류할 수 있다.
현재 동반성장위에서 장려하고 있는 맞춤형 지원의 대표적인 것은 ‘동반성장 투자재원’ ‘상생결제시스템’ 등이다. 상생결제시스템은 대기업이 협력사에, 1차 협력사가 2·3차 협력사에 지급하는 계약대금을 대기업 신용으로 결제하는 방식으로 부도 위험을 줄이는 것이다.
이정화 대·중소기업협력재단 본부장은 “상생결제시스템은 어음 거래의 위험과 폐단을 없애려고 도입한 것”이라면서 “기업 간 양극화 문제가 심화되고 있는데,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맞춤형 협력은 양극화 현상을 해결할 모멘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투자재원정책의 경우 대기업이 기금을 출연하면 이를 통해 각 협력중소기업의 특성과 시장환경, 애로사항에 맞게 △연구·개발 △인력개발 △생산성 향상 △해외시장 진출 △온실가스 감축 및 에너지 절약 지원 등을 하게 된다. 기금 출연 대기업에는 세제 혜택을 준다.
동반성장위 관계자는 “지원금 안에서 각 협력사에 맞는 지원사업이 시행될 수 있다는 점에서 대·중소기업 간 동반성장을 실질적으로 신속하게 실현하는 방법”이라고 설명했다.
유현진 기자 cworange@munhwa.com
관련기사
주요뉴스
시리즈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