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태일·엄춘분씨 등 ‘웨딩’
6·25전쟁 황해도 구월산전투에 함께 참전한 인연으로 60년을 해로한 신태일(88)·엄춘분(80) 씨 부부가 4일 국가보훈처 지원으로 회혼례를 갖는다.
국가보훈처는 4일 오전 11시 서울 용산 전쟁기념관 뮤지엄웨딩홀에서 신·엄 씨 부부를 비롯한 10쌍의 ‘6·25전쟁 호국영웅 합동 회혼례’를 박승춘 국가보훈처장 주례로 갖는다고 3일 밝혔다.
전쟁이 한창이던 1952년 겨울 구월산에서 육군 첩보대 유격대원으로 활동하던 신 씨는 간호와 취사업무를 지원하던 엄 씨를 보고 한눈에 반했다. 정전 직후인 1955년 경기 용인에서 다시 만나 약식으로 물 한 그릇을 떠놓고 혼례를 치러 3남 1녀를 두었다. 신 씨는 “힘든 시절을 함께한 전우이자 평생의 동반자인 아내에게 제대로 된 식을 꼭 올려주고 싶었다”며 “아들이 20세에 세상을 떠난 후 마음 아프게 살아온 아내를 웃게 해주고 싶었는데 회혼례를 치르게 돼 기쁘다”고 소감을 말했다.
전투가 한창이던 1953년 강원도에서 평생의 인연을 맺은 6·25 참전 유공자 강덕희(85·사진 왼쪽)·권정옥(85·오른쪽) 씨도 회혼례에 참가한다. 강 씨는 강원 화천 8사단 포병부대 근무 중 휴가를 나와 권 씨와 조촐한 혼례를 치르고 바로 군으로 복귀했다. 결혼을 원한 부모의 뜻을 거스를 수 없어 사귄 적도 없는 권 씨와 백년가약을 맺었다. 21세의 꽃다운 아내는 군으로 돌아간 남편을 기다리며 시부모를 모시는 힘겨운 결혼생활을 했다. 1남 2녀 자녀를 낳았지만 외아들이 12세 때 사고로 장애를 입는 시련도 있었다.
강 씨는 “전쟁통에 만나 얼굴 한 번 보고 바로 간소하게 혼례를 치르고는 평생을 시부모 봉양에 힘쓰고 아픈 아들 돌보느라 허리 한 번 쭉 못 펴고 고단하게 살아온 아내를 생각하면 늘 미안함에 마음이 아팠다”며 보훈처에 감사 인사를 전했다.
정충신 기자 csjung@munhwa.com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