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핵 가결땐 親朴 입지 급속 축소
김무성 “이번주 중진들 탈당 없다”


탈당을 고심하던 새누리당 비박(비박근혜)계가 박근혜 대통령 탄핵소추안 가결 후에도 당에 남아 당권투쟁을 벌이는 쪽으로 방향을 바꿨다. 탄핵이 실제 가결되면 친박(친박근혜)계 입지가 좁아지고, 탄핵에 찬성해 온 비박계 위상은 강화될 수밖에 없다는 계산이 깔려있다.

김무성 전 새누리당 대표는 28일 통화에서 “이번 주 중진 의원들의 탈당은 없다”고 말했다. 김 전 대표는 지난 23일 대선 불출마를 선언하기 직전까지도 탈당을 심각하게 고민했었다. 불과 일주일 전까지 탈당을 고심해 온 한 중진의원도 “잘못한 사람들이 (당에) 남아 있는데 우리가 왜 나가느냐”고 했다.

전날 열린 비상시국회의 총회에서도 탈당보다는 당내 투쟁 쪽에 무게가 실렸다. 비상시국회의 대변인격인 황영철 의원은 “탈당을 강하게 주장하는 분들도 있었지만, 지금은 탄핵에 집중하고 그 이후에 다시 논의해야 한다는데 뜻을 모았다”고 했다. 일단은 당에서 탄핵에 찬성하는 의원들을 최대한 많이 확보해 탄핵소추안을 통과시키는 데 주력하겠다는 것이다.

비박계에서는 당내 40여 명 의원의 동참으로 탄핵소추안 가결이 거의 확실시되자, “당권 투쟁도 해볼 만한 것이 아니냐”는 말이 나왔다. 22일 남경필 경기지사·김용태 의원의 탈당을 계기로 “새누리당에서는 더는 해볼 수 있는 게 없다”며 탈당 요구가 솟구치던 때에 비하면 분위기가 정반대로 바뀐 것이다.

당 관계자는 “지금은 당원 및 국회의원 비율에서 친박계가 수적으로 우세하지만, 탄핵소추안 가결을 계기로 탄핵에 반대해 온 친박계 입지가 쪼그라들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반대로 탄핵에 동참한 비박계는 당 안팎에서 위상이 강화될 수 있다.

비박계가 가장 이상적으로 그리는 시나리오는 ‘탄핵소추안 가결-이정현 지도부 조기 사퇴-비박 주도의 새 지도부 구성-친박 핵심 의원들에 대한 출당 논의’ 등이다. 실제 비박 진영에서는 벌써 친박 핵심 의원들을 겨냥한 인적 쇄신 요구가 나오고 있다.

황 의원은 “총회에서 박근혜 대통령과 최순실 국정농단의 부역자, 당의 비민주적 퇴행에 책임 있는 사람들에 대한 인적 쇄신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많았다”고 전했다. 이어 “김진태 의원 등에 대한 윤리위 제소 주장도 나왔지만, 그러다 보면 정작 핵심 인물들에 대한 인적 쇄신 필요성이 희석될 수 있어 더 거론하지 않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김윤희·박세희 기자 worm@munhwa.com

관련기사

김윤희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