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윤섭 미술경영연구소장 “추상 속 수묵에 서구 열광”
“한국 작가 가운데 누가 국내외 미술 경매시장에서 100억 원대 고지를 넘길지 묻는다면 당연히 김환기라고 답하겠다.”(김윤섭 한국미술경영연구소 소장)
수화 김환기(1913∼1974·왼쪽 사진) 화백의 주가가 치솟고 있다. 한국 추상미술의 선구자로 불리는 김 화백의 작품 노란색 전면점화인 ‘12-V-70 #172’(236×173㎝·오른쪽)가 27일 홍콩 경매에서 4150만 홍콩달러(약 63억2626만 원)에 낙찰돼 한국 미술품 최고가 기록을 바꿨다. 이로써 김환기 작품은 국내 미술품 경매가 상위 1∼5위를 독점하게 됐다.
지난해 10월까지만 해도 최고가 작품은 2007년 5월에 45억2000만 원에 낙찰된 박수근 화백의 ‘빨래터’였다. 불과 1년 남짓한 사이에 김 화백의 작품이 연일 최고가를 경신하며 미술 시장 판도를 바꾼 것이다.
특히 이번 경매가 홍콩에서 열렸고 그림을 구입한 컬렉터도 한국인이 아닌 아시아지역 컬렉터라는 사실에서 알 수 있듯 한국 현대미술에 대해 해외컬렉터들이 깊은 관심을 보이기 시작한 것과도 관련이 있다. 김환기 그림에 외국 컬렉터들이 열광하는 이유는 1960년대 후반 이래 뉴욕시대에 완성된 ‘전면점화’가 모던하고 보편적인 조형미를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박미정 환기미술관 관장은 “박수근, 이중섭 선생님의 그림은 한국 정서가 외형에 드러나 끝까지 계속되지만 김환기 선생님의 경우 현대 추상회화의 기법 속에 한국 정서와 동양철학을 담아 ‘현대 추상회화지만 수묵화를 보는 것 같은 감동’을 서구인들에게도 주고 있다”고 설명한다.
김윤섭 소장은 “원로 단색화가는 물론 이불, 서도호 등 한국 작가들에 대한 해외에서의 검증작업으로 한국 현대미술이 점차 인정을 받게 된 후 그 정점에 있는 김환기의 그림을 높이 평가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러시아 출신 미국 화가인 마크 로스코(1903∼1970년) 그림의 경우 한 점에 수백억 원을 호가하고 있으며, 일본의 무라카미 다카시(村上隆), 중국의 장샤오강(張曉剛) 등 현역작가들의 작품도 이미 100억 원 고지를 훌쩍 넘어섰다.
이경택 기자 ktlee@munhwa.com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