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교측 “정부지원 사업 아니다”
‘미래의 저주’인가. 미래지향적 교육혁신을 내세워 ‘미래대학’ 설립을 추진 중인 고려대가 소통 부족 등을 주장하는 학내 반발과 ‘정부 재정지원 사업이 아니냐’는 세간의 오해 등 이중고로 울상을 짓고 있다.
특히 ‘최순실 국정농단 사건’으로 국민의 퇴진 요구에 직면한 박근혜 대통령이 유독 ‘미래’라는 단어와 관련이 깊었던 탓에 오해가 더 커졌다. 박 대통령은 2002년 한나라당을 탈당해 한국미래연합을 창당한 전력이 있고, 현 정부 출범 후에는 미래창조과학부가 신설됐다. 이화여대는 교육부 지원을 받아 ‘미래 라이프 대학’ 사업을 추진하다 학생들의 반대로 철회했다.
29일 고려대와 총학생회 등에 따르면 학교 측은 지난 25일 염재호 총장이 주재한 임시 교무위원회에서 미래대학인 ‘크림슨 칼리지’(가칭)와 관련, 기존 ‘미래대학 추진위원회’ 안을 수정하면서까지 설립을 추진했으나 학생들은 여전히 반대 입장이다. 학교 측 수정안은 미래대학 등록금을 기존 750만 원에서 500만 원 선으로 낮추고, 자유전공학부를 유지하되 전체 단과대 입학 인원을 2.5% 감축해 정원을 마련하며, 단과대학이 아닌 약 80명 규모의 독립학부를 설립하는 내용이다. 냉담한 반응을 보인 학생들은 미래대학 전면철회 주장을 고수하고 있다. 총학 관계자는 “대학이 취업에 도움이 되는 교육만 강조하는 취업전문학원으로 전락하는 것을 막기 위해서라도 결코 미래대학 설립에 타협할 생각이 없다”고 말했다.
고려대는 특히 이번 사업에 ‘미래’ 용어가 사용된 것과 관련, 정부가 추진하는 30억 원 규모의 대학재정 지원사업인 ‘평생교육 단과대학’ 사업과는 전혀 관계가 없다고 강조했다. 고려대가 독자적으로 추진하는 사업임에도 불구, 이화여대에서 추진하다가 논란을 빚었던 ‘미래라이프 대학’과 비슷한 사업으로 비치는 바람에 주변으로부터 큰 오해를 받고 있다는 주장이다. 그러나 총학 관계자는 “학생들이 느끼기에는 정부 지원 대신 기업 지원을 받겠다는 점만 다르지, 특성화와 융합을 강조하는 등 박근혜정부가 강조하는 교육 기조와 크게 다르지 않아 보인다”고 반발했다.
최준영 기자 cjy324@munhwa.com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