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국회결정 따를 것” 언급만
‘무조건 거부는 힘들 듯’ 분석
박근혜 대통령이 새누리당의 내년 4월말 사퇴 및 6월말 조기대선 당론 채택에 대해서 공개적으로 화답할지 주목되고 있다.
청와대 내부에선 이미 박 대통령이 3차 대국민 담화에서 본인의 거취와 관련해 여야의 결정에 따르겠다고 선언한 만큼 추가 언급은 없을 것이라고 선을 긋고 있다. 하지만 새누리당의 당론이 채택된 만큼 박 대통령도 다음 카드로 공개화답을 검토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정연국 청와대 대변인은 1일 춘추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박 대통령의 거취에 대해서 “국회에서 조속히 논의되기를 바란다”며 국회에서 정해줄 것을 요청했다. 정 대변인은 박 대통령이 따로 염두에 둔 ‘질서 있는 퇴진’ 시점이 있느냐는 물음엔 “들은 것이 없다”고 말했다. 정 대변인의 이 같은 언급은 박 대통령이 국회, 즉 여야 간 합의를 조건으로 밝혔기 때문에 야당이 새누리당의 당론에 동의하는지 지켜보자는 뜻인 것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청와대는 여야 합의가 이뤄질 경우에 대해서도 구체적 반응을 자제하고 있어 주목된다. 박 대통령의 임기 단축 배경엔 개헌 의지가 깔려 있는 만큼 선뜻 응하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도 있지만, 탄핵안 가결을 막기 위해 마지막 카드로 시점 언급을 준비 중인 것이 아니냐는 추측이 동시에 나오고 있다.
실제 청와대는 3차 대국민 담화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상반기 내’ 등으로 표현을 보다 명시하는 안을 검토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따라서 새누리당의 당론에 대해서 “국회가 정해주는 4월말에 대통령직에서 물러나겠다”는 식의 반응이 나올 수 있을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청와대의 한 참모는 “박대통령은 여야가 일정과 절차를 합의해 주면 이를 수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지난달 29일 3차 대국민 담화에서 “대통령직 임기 단축을 포함한 진퇴 문제를 국회의 결정에 맡기겠다”며 “여야 정치권이 논의하여 국정의 혼란과 공백을 최소화하고 안정되게 정권을 이양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주시면 그 일정과 법 절차에 따라 대통령직에서 물러나겠다”고 밝혔다.
김만용 기자 mykim@munhwa.com
‘무조건 거부는 힘들 듯’ 분석
박근혜 대통령이 새누리당의 내년 4월말 사퇴 및 6월말 조기대선 당론 채택에 대해서 공개적으로 화답할지 주목되고 있다.
청와대 내부에선 이미 박 대통령이 3차 대국민 담화에서 본인의 거취와 관련해 여야의 결정에 따르겠다고 선언한 만큼 추가 언급은 없을 것이라고 선을 긋고 있다. 하지만 새누리당의 당론이 채택된 만큼 박 대통령도 다음 카드로 공개화답을 검토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정연국 청와대 대변인은 1일 춘추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박 대통령의 거취에 대해서 “국회에서 조속히 논의되기를 바란다”며 국회에서 정해줄 것을 요청했다. 정 대변인은 박 대통령이 따로 염두에 둔 ‘질서 있는 퇴진’ 시점이 있느냐는 물음엔 “들은 것이 없다”고 말했다. 정 대변인의 이 같은 언급은 박 대통령이 국회, 즉 여야 간 합의를 조건으로 밝혔기 때문에 야당이 새누리당의 당론에 동의하는지 지켜보자는 뜻인 것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청와대는 여야 합의가 이뤄질 경우에 대해서도 구체적 반응을 자제하고 있어 주목된다. 박 대통령의 임기 단축 배경엔 개헌 의지가 깔려 있는 만큼 선뜻 응하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도 있지만, 탄핵안 가결을 막기 위해 마지막 카드로 시점 언급을 준비 중인 것이 아니냐는 추측이 동시에 나오고 있다.
실제 청와대는 3차 대국민 담화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상반기 내’ 등으로 표현을 보다 명시하는 안을 검토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따라서 새누리당의 당론에 대해서 “국회가 정해주는 4월말에 대통령직에서 물러나겠다”는 식의 반응이 나올 수 있을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청와대의 한 참모는 “박대통령은 여야가 일정과 절차를 합의해 주면 이를 수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지난달 29일 3차 대국민 담화에서 “대통령직 임기 단축을 포함한 진퇴 문제를 국회의 결정에 맡기겠다”며 “여야 정치권이 논의하여 국정의 혼란과 공백을 최소화하고 안정되게 정권을 이양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주시면 그 일정과 법 절차에 따라 대통령직에서 물러나겠다”고 밝혔다.
김만용 기자 mykim@munhwa.com
관련기사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