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T, 중국노동회보 인용 보도

소매·물류 파업·시위 건수
전통산업 제조·건설 앞질러


중국이 신 경제 성장 동력을 적극 장려하고 있는 가운데 중국의 노동쟁의가 기존의 제조와 건설 분야에서 소매와 물류 등 소위 ‘신(新) 경제’ 영역으로 확산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2일 홍콩 소재 노동운동단체인 중국노동회보 집계를 인용해 지난해 중국 내 파업·시위는 총 2663건이 발생해 전년에 비하면 112건 줄었지만 2014년에 비하면 2배로 늘어났다면서 이렇게 보도했다. 특히 파업 및 시위는 중국의 전통적 산업 영역인 제조와 건설 분야에서는 감소했으나 정부가 ‘미래 성장 동력’으로 지목한 소매와 물류 등 신 경제 영역에서 증가했다.

산업별로는 지난해 소매 분야 파업·시위는 2014년의 2배로 급증했다. 운송과 서비스 분야도 같은 기간 각각 25%와 20% 증가했다. 이에 따라 ‘신 경제’로 불리는 소매, 운수, 서비스 분야 파업·시위 건수가 전통 산업인 제조 분야를 처음으로 앞질렀다. 같은 기간 제조업 분야 파업·시위는 3분의 1가량 줄었다. 건설 분야는 여전히 쟁의 건수로는 가장 많지만, 증가폭은 8%에 그쳤다.

전문가들은 전통 산업 분야에서 만연한 임금 체불 문제가 ‘신 경제’ 분야에서도 불거지며 이처럼 노동쟁의가 늘어나는 것으로 해석했다. 중국노동회보의 키건 엘머 연구원은 “새로운 경제가 옛 노동 문제로 가득 찼다”고 말했다. 중국에선 농촌 출신 이주노동자(농민공) 수가 줄어들어 농민공 공급이 수요를 못 따라가자 제조, 건설 등의 분야에서 임금이 상승했다. 그러나 이로 인해 기업들의 임금 체불 사례도 늘어났다.

이 같은 현상이 정보통신기술 분야와 전통 산업과 융합한 ‘인터넷 플러스’ 분야에서도 빠른 속도로 늘어나고 있는 것이다. 엘머 연구원은 또 이번 통계치는 실제 중국에서 일어나는 각종 시위나 파업의 10분의 1 수준에 불과할 것으로 내다봤다.

베이징=박세영 특파원 go@munhwa.com
박세영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