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2일 - 간암의 날’ 선포한 성진실 대한간암학회장

“국민에게 간암에 대한 올바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올해부터 2월 2일을 ‘간암의 날’로 제정했습니다.”

성진실(연세대 의대 방사선종양학과 교수·사진) 대한간암학회 회장은 3일 “간암은 초기에 진단할 경우 충분히 나을 수 있으므로 정기 검진을 반드시 받아야 한다”며 “연 2회씩 정기 검진을 받을 수 있다는 사실을 홍보하기 위해 2월 2일을 간암의 날로 정하게 됐다”고 밝혔다.

지난해부터 만 40세 이상 남녀 중 간암 발생 고위험군(B형 간염 보유자, C형 간염 보유자, 간경변증 환자)에 해당하는 대상자는 상반기 1회·하반기 1회씩 6개월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제공하는 간 초음파검사·혈청 알파 태아 단백 검사를 받을 수 있다. 성 회장은 “조기에 발견하면 완치될 수 있지만, 간암 고위험군에 대해 실시하는 건강보험공단의 수검률은 40%가 안 된다”고 지적했다. 간암은 조기 진단될 경우 간 절제술, 간이식과 같은 수술적 치료법 및 고주파 열 치료 등 비수술적 치료법으로 높은 치료 성적을 얻을 수 있다. 이는 학회에서 발표한 간암 병기별 5년 생존율에서도 나타난다. 간암을 1기에 발견하면 생존율은 52%, 2기는 36%다. 그러나 3기에 발견하면 생존율은 15%에 불과하고, 4기에 발견하면 6%대로 떨어진다. 따라서 간암 환자의 예후 향상을 위해서는 조기 진단이 매우 중요하다고 전문가들은 강조한다.

성 회장은 “전체 암 사망률 중 간암이 차지하는 비율이 남성 2위, 여성 4위를 차지하고 있다”며 “환자 1인당 치료비는 평균 6700만 원으로 췌장암에 이어 2위를 기록하고 있다”고 말했다.

간암은 아직 명확히 규명되지 않았지만 대부분 만성 간염, 간 경변 같은 간 질환 환자에게서 발생한다. 학회에 따르면 간암 환자의 70% 이상이 간 질환을 앓고 있으며, 상당수는 간 경변증을 갖고 있다. 성 회장은 “간암의 날을 제정해 수검률을 높여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이용권 기자 freeuse@munhwa.com
이용권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