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교육청이 국정 역사교과서 연구학교 공문을 내려보내지 않아 일선 학교들이 신청을 못 하는 것은 부당합니다.”
곽일천(사진) 서울디지텍고 교장은 14일 문화일보와의 인터뷰에서 연구학교 신청을 둘러싼 논란에 대해 이같이 말했다. 전국 17곳 시·도교육청 중 이날 현재 6곳이 교육부에서 내려온 연구학교 신청 공문을 관할 학교들에 내려보내지 않고 있다. 이런 이유로 국정 역사교과서를 시범 도입할 연구학교 신청이 한 곳도 없자 교육부는 신청 기간을 지난 10일에서 15일로 닷새 연장했다. 국정 교과서를 사용할 의향이 있는 일부 학교가 교육부 공문도 받지 못하자 이준식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10일 해당 교육청들에 대한 법적 조치 입장까지 밝혔다.
곽 교장은 2014년에도 우 편향 논란이 있었던 교학사의 한국사 교과서 채택을 추진해 논란의 중심에 선 바 있다. 그는 “우리 학교는 학교운영위에서 연구학교로 신청하기로 했는데, 교육청이 공문을 내려보내지 않아 신청을 하지 못하고 있다”며 “교육청이 학생들에게 국정교과서와 검정교과서를 비교하면서 제대로 된 역사 교육을 할 기회를 막고 있다”고 주장했다.
곽 교장은 교육부 공문을 전달하지 않는 것에 항의하는 의미로 ‘서울시교육청이 연구학교 신청을 막는 것은 권한 남용으로, 조희연 교육감은 연구학교 공문을 내려보내지 않는 이유를 밝혀야 한다’는 내용의 공문을 교육청에 보내기도 했다.
그는 “박근혜정부에 대한 불신 때문에 역사학자들이 만든 국정 역사교과서까지 평가절하하는 상황이 안타깝다”고 말했다. ‘최순실 국정농단 사건’으로 일부 진보성향의 교육계 및 역사학계 인사들이 국정 역사교과서를 부당하게 평가절하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곽 교장은 일부 학교장들의 국정 역사교과서 찬성 목소리도 전했다. 그는 “몇몇 사립 중·고등학교장들이 국정 역사교과서 내용에 찬성하면서도 편견 때문에 선뜻 연구학교 신청을 못 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일부에서 국정 역사교과서를 우 편향으로 낙인찍는 바람에 학교장들이 여론재판을 받을 것을 우려해 신청을 망설이고 있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곽 교장은 “주무부처인 교육부가 나서 교육청의 연구학교 신청 방해 행위를 차단하라”고 촉구했다. 서울교육단체협의회는 곽 교장의 주장에 항의하기 위해 이날 오후 서울디지텍고 정문 앞에서 ‘규탄 기자회견’을 열기도 했다.
정유진 기자 yoojin@munhwa.com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