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반응
언론 “사드배치 시작” 긴급보도
한·미 양국이 주한미군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배치 작업에 돌입함에 따라 중국의 보복도 한층 격화할 조짐이다. 중국은 ‘사드 배치를 서두르지 말라’는 메시지를 밝혀 왔기 때문에 중국 입장에서는 가장 불쾌한 상황이 발생한 셈이다. 중국은 이미 관영 매체를 통해 ‘준단교’까지 언급한 상황이다.
7일 국방부가 “사드체계의 일부가 한국에 도착했다”고 발표하자 중국 매체들은 한국 언론 보도를 인용해 이 소식을 속보로 전하고 있다. 중국 정부는 지난달 18일 독일에서 열린 한·중 외교장관 회담 등을 계기로 “사드 배치를 서두르지 말라”는 메시지를 한국 측에 전한 바 있다. 사드 배치 문제를 다음 정권의 결정으로 넘기게 만들려는 속셈이었다. 그러나 사드의 조기 배치로 이 같은 중국의 입장은 정면으로 무시된 셈이다.
이에 따라 중국은 오산기지를 통해 한국으로 반입된 사드 장비가 경북 성주의 롯데 골프장 부지에 실전 배치되는 시기를 ‘레드라인’으로 설정한 채 보복의 강도를 최고조로 끌어올릴 가능성이 제기된다. 이미 한국행 관광상품 판매 중단, 중국 내 롯데 매장에 대한 영업정지 조치 등에 이어 각종 비관세 보복이 동시다발적으로 펼쳐지고 있다. 이처럼 경제 보복 조치뿐 아니라 대사 소환 등 외교적인 행동에도 나설 것으로 보인다.
격화하는 중국의 보복 조치에 맞서 정부는 세계무역기구(WTO) 제소 등 법적 절차를 검토하는 한편 국제 여론을 상대로 중국 조치의 부당함을 호소하는 동시에 중국과의 대화를 모색하고 있지만 단기간에 효과를 거두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이에 따라 이달 하순으로 예정된 렉스 틸러슨 미국 국무장관의 한·중·일 순방을 계기로 미·중이 대화를 통해 중국의 보복 폭주에 브레이크를 걸 수 있을지가 관건이다. 중국이 가장 신경 쓰고 있는 외교 행사인 4월 미·중 정상회담 성사와 관련된 틸러슨 장관의 중국 방문 기간에 북핵 해법을 논의하는 맥락에서 사드 문제도 거론될 것으로 보인다. 현 상황에서 주한미군 사드를 미국의 대 중국 견제 전략의 일환으로 보는 중국에 사드가 본질적으로 북한 핵·미사일 대응용임을 미국이 직접 설득하지 않는다면 한·중 관계는 사드 배치를 계기로 파국으로 치달을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베이징=박세영 특파원 go@munhwa.com
언론 “사드배치 시작” 긴급보도
한·미 양국이 주한미군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배치 작업에 돌입함에 따라 중국의 보복도 한층 격화할 조짐이다. 중국은 ‘사드 배치를 서두르지 말라’는 메시지를 밝혀 왔기 때문에 중국 입장에서는 가장 불쾌한 상황이 발생한 셈이다. 중국은 이미 관영 매체를 통해 ‘준단교’까지 언급한 상황이다.
7일 국방부가 “사드체계의 일부가 한국에 도착했다”고 발표하자 중국 매체들은 한국 언론 보도를 인용해 이 소식을 속보로 전하고 있다. 중국 정부는 지난달 18일 독일에서 열린 한·중 외교장관 회담 등을 계기로 “사드 배치를 서두르지 말라”는 메시지를 한국 측에 전한 바 있다. 사드 배치 문제를 다음 정권의 결정으로 넘기게 만들려는 속셈이었다. 그러나 사드의 조기 배치로 이 같은 중국의 입장은 정면으로 무시된 셈이다.
이에 따라 중국은 오산기지를 통해 한국으로 반입된 사드 장비가 경북 성주의 롯데 골프장 부지에 실전 배치되는 시기를 ‘레드라인’으로 설정한 채 보복의 강도를 최고조로 끌어올릴 가능성이 제기된다. 이미 한국행 관광상품 판매 중단, 중국 내 롯데 매장에 대한 영업정지 조치 등에 이어 각종 비관세 보복이 동시다발적으로 펼쳐지고 있다. 이처럼 경제 보복 조치뿐 아니라 대사 소환 등 외교적인 행동에도 나설 것으로 보인다.
격화하는 중국의 보복 조치에 맞서 정부는 세계무역기구(WTO) 제소 등 법적 절차를 검토하는 한편 국제 여론을 상대로 중국 조치의 부당함을 호소하는 동시에 중국과의 대화를 모색하고 있지만 단기간에 효과를 거두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이에 따라 이달 하순으로 예정된 렉스 틸러슨 미국 국무장관의 한·중·일 순방을 계기로 미·중이 대화를 통해 중국의 보복 폭주에 브레이크를 걸 수 있을지가 관건이다. 중국이 가장 신경 쓰고 있는 외교 행사인 4월 미·중 정상회담 성사와 관련된 틸러슨 장관의 중국 방문 기간에 북핵 해법을 논의하는 맥락에서 사드 문제도 거론될 것으로 보인다. 현 상황에서 주한미군 사드를 미국의 대 중국 견제 전략의 일환으로 보는 중국에 사드가 본질적으로 북한 핵·미사일 대응용임을 미국이 직접 설득하지 않는다면 한·중 관계는 사드 배치를 계기로 파국으로 치달을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베이징=박세영 특파원 go@munhwa.com
관련기사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