安, 창업재단 찾아 정책 발표
孫, 국회서 일자리 공약 내놔


안철수 전 국민의당 대표와 손학규 전 민주당 대표 등 국민의당 대선 주자들이 7일 경선 룰을 둘러싼 신경전을 잠시 접고 정책 공약 발표를 통한 경선 경쟁력 확보에 나섰다.

경선 현장투표 실시 비율 등을 놓고 양측이 입장을 굽히지 않으면서 경선 룰이 사실상 당 지도부 손으로 넘어갔고, 이에 따라 주자들은 조만간 실시될 경선에 대비해 외연 확장에 나선 것이다.

안 전 대표는 이날 오후 스타트업 기업들이 입주한 서울 강남의 한 창업재단을 찾아 정부주도의 패러다임을 벗어나 민간주도로 전환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 과학기술·창업혁명 정책을 발표한다. 안 전 대표는 국가연구개발 사업 체제의 전면적 혁신, 부족한 보건·복지·환경 등 공공분야 과학인력 대폭 확충, 향후 5년간 청·장년 재교육을 통한 4차 산업혁명 인재 10만 명 양성 등을 제안한다.

손 전 대표는 오전 국회 정론관에서 일자리 공약을 발표하면서 맞불을 놨다. 손 전 대표는 “한때 국내총생산(GDP) 대비 48.8%까지 달했던 지나친 공공분야 지출을 30% 후반 내지 40% 초반 수준까지 억제하고, 정부가 각종 협회·단체를 통해 독점 운영하는 공공서비스 중 고비용 비효율을 낳는 사업은 과감하게 민간에 개방해 시민경제의 활력을 높이겠다”고 공약했다.

오는 8일 지도부에서 결정될 예정인 경선 룰을 놓고 양측의 신경전은 이어졌다. 안 전 대표 측은 손 전 대표 측이 주장하는 현장투표가 조기 대선을 가정할 경우 물리적으로 어렵다고 보고 있다. 선거인단 명부 없이 누구나 투표소에 와서 투표하는 방식은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관리도 받지 못하기 때문에 중복이나 해킹 등의 오류를 방지할 수 없다는 것이다.

하지만 손 전 대표 측은 기술적 문제를 보완하면 충분히 가능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당 자체 선관위는 이날 복수 업체가 참여하는 프레젠테이션을 받고 현장투표 가능 여부를 타진한다. 박지원 대표는 “프레젠테이션 결과에 따라 중재안이 달라질 수 있다”고 말했다.

김동하·이근평 기자 kdhaha@munhwa.com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