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OTH레이더, 탐지거리 3000㎞
동북지역 부대, 미사일 500기
유사시 美 항공모함 진입 막아
中, 자국 안보위협 주장하면서
한국의 ‘北核방어 사드’는 무시
중국 정부는 주한미군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가 인민해방군 군사시설 감시용이라고 주장하고 있지만 정작 자신들은 초지평선 레이더(OTH-B·후방산란수평레이더)를 비롯한 레이더망과 군사정찰 위성 등으로 주한미군기지와 한국과 일본의 군사시설을 손바닥 들여다보듯 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중국은 동북방면을 담당하는 제2포병 산하 51부대가 최대 500여 기의 미사일을 배치해 한반도를 사정권에 둔 사실도 확인됐다.
중국이 자국에 대한 위협 요인을 확대 과장하면서 한국이 당면한 안보 위협을 외면하고, 한반도 인근에 미사일과 레이더망을 집중 배치하는 이율배반적인 군사대국주의 횡포를 부리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중, 강력한 레이더망으로 한반도 감시 = 중국은 강력한 위성과 레이더 망으로 한반도와 동북아의 종심(縱心)을 감시하고 있다. 아산정책연구원의 ‘한반도 사드 배치와 중국’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이 베이징(北京) 인근과 동부 해안에 배치하고 있는 OTH 레이더는 탐지거리가 3000km로 한반도는 물론 주일미군기지, 동태평양 일대까지 세밀하게 감시할 수 있다. 해상 감시를 주로 하는 OTH 레이더는 동태평양의 주도권을 놓고 미국과 갈등하는 중국에 미국 동·남 중국해 등에서 중국 전력을 차단하기 위한 반접근·지역거부전략(A2/AD)의 핵심 전력이다.
미 국방부는 2014∼2015 보고서에서 “중국 해군의 OTH 레이더는 정찰위성과 연계해 대함탄도미사일(ASBM)이 일본과 대만 방향으로 향해 제2 도련선까지 준정밀 공격을 할 수 있는 장거리 정밀 타격을 지원한다”고 분석했다.
또 배치를 앞두고 있는 DWL-002&YLC-20 패시브 레이더의 탐지거리는 400∼500㎞로 F-22와 F-35 전투기의 비행 상황도 탐지가 가능하다. 이 레이더가 중국 동북 연안 지역에 배치될 경우 한반도 전역이 탐지 반경에 들어온다.
중국은 감시 전력 강화를 위해 올해 중 러시아제 지대공 미사일 체제인 탐지거리 700㎞의 SA-21b(S-400) SAM도 도입할 예정이다. S-400레이더는 차량에 실려 신속히 이동할 수 있다. 보고서는 “이 레이더가 태안반도에서 100㎞ 남짓 떨어진 산둥(山東)반도에 배치되면 한국과 주한미군의 움직임은 중국의 손안에 들어간다”고 지적했다.
◇중국의 55개 군사위성은 한반도 전략적 불균형 요인 = 중국은 사드 한반도 배치 반대를 주장하면서 정작 자국의 강력한 한반도 감시 전력은 숨기고 있다. 중국은 2015년 기준 142기의 위성을 운용하고 있으며 이 중 55기가 군사위성이다. 야오간(遙感)시리즈가 주축인 중국 군사위성은 서태평양상에서 적대 세력이 운용하는 해상 전력을 추적하고 대함탄도미사일 발사를 위해 정밀 위치 확인을 한다.
중국은 미사일 전력의 정밀 유도능력을 높이기 위해 미국 위성에 기반을 둔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을 대체하는 베이더우(北斗) 위성시스템까지 구축 중이다. 오는 2020년까지 32∼35개를 추가로 확보할 예정이다. 중국의 위성은 한반도의 전략적 불안정과 직결되며 한국에는 새로운 위협요소로 떠오르고 있다.
◇한반도 사정권 최대 500여 기 미사일 배치 = 중국은 단거리 중거리 준중거리 같은 전역 미사일을 중국 동북방에 전진 배치하고 있다. 1차 기능은 ‘미국의 공격에 대한 방어’지만 전략로켓군(제2포병 산하 51부대)은 한반도에 큰 위협으로 등장하고 있다. 공개 정보를 통한 자료 분석에 따르면 동북 방면을 담당하는 51부대에는 최대 500여 기의 미사일이 배치된 것으로 드러났다.
보고서는 “이들 미사일은 유사시 북한 지원으로 전환할 가능성이 있다”며 “한반도에 대형 군사충돌이 발생하면 한국 공군 및 미군 공군 기지를 파괴하고 한반도 증원전력 핵심인 미 항공모함이 동·서해안으로 진입하는 것을 막거나 저지해 통일 과정을 방해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특히 51부대에 ‘항모킬러’로 불리는 둥펑(DF)-21D가 배치되면 서해로 진입하는 미 항모를 견제하게 된다. 유사시 미 항모가 한반도 동해와 서해에서 양동작전을 펴는 것은 한국 생존에 필수적이지만 한국이 중국의 미사일에 대응할 수 있는 수단은 사실상 없기 때문이다.
정충신 기자 csjung@munhwa.com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