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크루즈선은 한국 경유 금지
롯데 관련 상품 판매 불가 등
각급 省정부‘7대 지침’ 공지
비자 발급대행도 사실상 중단
‘최고영향력’ CCTV 고발프로
‘완후이’韓기업 타깃될까 촉각
중국 정부의 한국 관광상품 판매 전면금지 조치가 15일부터 정식 시행됐다. 또 이날 중국 ‘소비자의 날’을 맞아 한국 기업에 불이익이 오지 않을지 중국에 진출한 한국 기업들은 긴장하고 있다.
최근 중국 국가여유국의 구두 지침에 따라 15일부터 중국 대형 여행사뿐만 아니라 중소 여행사까지 한국 관광상품 취급을 일제히 중단한다. 온·오프라인 여행사가 모두 포함되며 여행사들의 비자 발급 대행도 사실상 중단됨에 따라 15일부터는 주중 한국 영사관에 개별 비자를 신청하고 항공권과 숙박 등을 자체적으로 예약한 중국인들만 한국 여행이 가능하게 됐다. 앞서 각급 성 국가여유국이 주요 여행사들을 소집해 한국 관광상품 판매를 전면 중단하라며 공지한 7대 지침에는 △단체와 개인(자유) 한국 관광상품 판매금지 △롯데 관련 상품 판매금지 △온라인 판매 한국 관광상품 판매 종료 표시 △크루즈선 한국 경유 금지 △관련 지침 어길 시 엄벌 등이 포함됐다.
또한 소비자의 날을 맞아 이날 저녁 관영 CCTV에서 방영될 소비자 고발 프로그램인 ‘완후이(晩會)’에서 한국 기업 제품들이 다뤄지게 될지를 두고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다. 이 프로그램은 정부부처와 CCTV가 공동 주관해 소비자 권익 보호를 위해 1991년부터 매년 3월 15일마다 오후 8시부터 두 시간씩 방영하는 생방송으로 자국 소비자 권익보호와 관련해 가장 영향력 있는 프로그램으로 꼽힌다. 과거 금호타이어(2011년), 맥도날드(2012년), 폭스바겐(2015년) 등 해외 브랜드에 대해 공격해 왔기 때문에 롯데를 비롯한 한국 기업이 이번 완후이에서 거론될 가능성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일각에서는 박근혜 전 대통령의 파면이라는 한국 내 상황과 미·중 정상회담을 논의하게 될 렉스 틸러슨 미 국무장관의 방중을 앞둔 상황을 고려해 중국 당국의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보복’이 속도 조절에 들어간 가운데 이날 노골적으로 한국 기업만을 대상으로 삼지는 않을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더욱이 올해의 주제는 ‘왕뤄청신(網絡誠信), 샤오페이우유(消費無)’로, ‘온라인상의 신용’ 문제를 다룰 예정이다. 그런 만큼, 타오바오(淘寶)와 징둥(京東) 등 온라인 플랫폼을 제공하는 기업체들이 주 타깃이 될 가능성이 높은데 대부분은 중국 민영 기업체들이다. 중국 경제 매체들은 올해 블랙리스트에 포함될 가능성이 큰 7대 분야로 전자상거래 업체, 웨이상(微商·SNS인 위챗을 이용한 상품 판매 사업자), 환경 문제, 스마트 기기, 인터넷 금융, 이동통신사, 외국 기업 등이 대상에 오를 수 있다고 분석하면서 특히 전자상거래 업체가 지목될 가능성을 압도적으로 높게 관측하고 있다. 베이징(北京)의 한 산업계 관계자는 “한국의 어떤 특정 업체만을 대상으로 하려는 조짐은 아직 나타나지 않고 있다”면서 “전자상거래와 관련한 소비자 불만이 주제인 만큼, 사례로 한국 상품이 나오지 않을지 지켜보고 있다”고 말했다.
베이징=박세영 특파원 go@munhwa.com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