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이자수지 5조원대 적자
제2금융권 등 가계부채 급증
지난해 가계가 대출금 등의 이자로 쓴 돈이 이자로 번 돈보다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대출이자가 가계소득에 큰 부담으로 작용하기 시작했다는 분석이다.
29일 한국은행 국민계정 통계를 보면 지난해 ‘이자 수지(이자소득-이자지출)’는 5조6589억 원 적자를 냈다. 한은이 이자 수지 통계를 내기 시작한 1975년 이후 첫 적자다.
지난해 가계가 이자로 은행 등 금융기관에 낸 금액인 이자 지출은 41조7745억 원으로 전년보다 12.6%(4조6624억 원)나 급증했다. 또 이자 지출이 증가세로 돌아선 것은 2011년 이후 5년 만이다. 반면에 지난해 이자 소득은 36조1156억 원으로 전년보다 5.4%(2조561억 원) 줄었다. 지난 1996년(32조8927억 원) 이후 20년 만에 가장 낮은 규모다.
그동안 이자 수지는 2010년부터 저금리 기조 등의 영향으로 매년 감소하는 움직임을 보여왔다. 민간소비 촉진을 위한 저금리가 가계소득 측면에선 악재가 된 셈이다. 특히 상대적으로 금리가 높은 저축은행과 새마을금고 등 제2금융권의 가계대출 증가세가 이자 수지 적자에 큰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지난해 말 기준 저축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18조2849억 원으로 전년보다 33.5%(4조5913억 원)나 급증했다.
금융기관의 예대마진(대출과 예금의 금리 차) 확대도 가계 이자 수지를 끌어내렸다. 지난해 예금은행의 신규 취급액 기준 예대마진은 1.89%포인트로 전년보다 0.1%포인트 증가했다. 한은 기준금리 인하 이후 은행들이 대출금리보다 예금금리를 더 많이 내렸기 때문이다.
윤정선 기자 wowjota@munhwa.com
제2금융권 등 가계부채 급증
지난해 가계가 대출금 등의 이자로 쓴 돈이 이자로 번 돈보다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대출이자가 가계소득에 큰 부담으로 작용하기 시작했다는 분석이다.
29일 한국은행 국민계정 통계를 보면 지난해 ‘이자 수지(이자소득-이자지출)’는 5조6589억 원 적자를 냈다. 한은이 이자 수지 통계를 내기 시작한 1975년 이후 첫 적자다.
지난해 가계가 이자로 은행 등 금융기관에 낸 금액인 이자 지출은 41조7745억 원으로 전년보다 12.6%(4조6624억 원)나 급증했다. 또 이자 지출이 증가세로 돌아선 것은 2011년 이후 5년 만이다. 반면에 지난해 이자 소득은 36조1156억 원으로 전년보다 5.4%(2조561억 원) 줄었다. 지난 1996년(32조8927억 원) 이후 20년 만에 가장 낮은 규모다.
그동안 이자 수지는 2010년부터 저금리 기조 등의 영향으로 매년 감소하는 움직임을 보여왔다. 민간소비 촉진을 위한 저금리가 가계소득 측면에선 악재가 된 셈이다. 특히 상대적으로 금리가 높은 저축은행과 새마을금고 등 제2금융권의 가계대출 증가세가 이자 수지 적자에 큰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지난해 말 기준 저축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18조2849억 원으로 전년보다 33.5%(4조5913억 원)나 급증했다.
금융기관의 예대마진(대출과 예금의 금리 차) 확대도 가계 이자 수지를 끌어내렸다. 지난해 예금은행의 신규 취급액 기준 예대마진은 1.89%포인트로 전년보다 0.1%포인트 증가했다. 한은 기준금리 인하 이후 은행들이 대출금리보다 예금금리를 더 많이 내렸기 때문이다.
윤정선 기자 wowjota@munhwa.com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