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잠수식 선박에 탑승 예정
‘뼛조각 소동’ 유실 우려 커져

해수부 “내일 예정대로 출발”
선체 고정 작업도 오늘 재개


해양수산부는 ‘뼛조각 소동’으로 일시 중단됐던 선체 고정 작업 등을 29일 중 재개, 30일까지 출항 사전준비를 모두 마치고 예정대로 30일쯤 목포신항으로 출발하겠다고 밝혔다. 또 추가 유해 발견 가능성에 대비해 이날부터 국립과학수사연구원과 해경 직원이 반잠수식 선박에 상주하기로 했다.

이철조 해수부 세월호 인양추진단장은 이날 오전 진도군청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최대한 30일까지 작업을 완료하겠다”고 말했다.

해수부에 따르면 육상거치에 방해가 될 수 있는 날개탑(부력탱크) 4개 중 2개는 28일 오후 2시쯤 제거됐다. 날개탑은 선미(배꼬리) 끝단에 있고, 세월호 선수부와 약 9m 떨어져 있어 유골 추정 물체의 발견 여부와 관계없이 제거 작업이 진행됐다. 해수부는 30일까지 남은 2개를 제거할 계획이다.

다만 이날 새벽 강풍을 동반한 비가 내렸고, 오전 중 최대 파고가 2.2m로 높은 편이어서 기상 여건이 나아지면 제거 작업을 재개하기로 했다. 반잠수식 선박과 세월호 선체 고정작업은 선체-리프팅 빔 간 22곳, 리프팅 빔-지지대 28곳 등 총 50곳을 용접하는 작업이다. 28일 오전까지 리프팅 빔-지지대 16곳에 용접을 했으나 유골 추정 물체가 발견되며 잠정 중단됐다.

해수부는 이 물체가 동물뼈로 확인되기는 했지만 최종 판명을 위해 국과수가 7개 뼛조각의 DNA 검사를 벌인다고 밝혔다. 또 이날부터 목포신항 도착 때까지 국과수와 해경 담당 직원이 각각 1명씩 반잠수식 선박에 탑승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배수 과정에서 뼛조각이 발견되면서 유해 유실 가능성에 대한 우려는 더욱 커졌다. 해수부가 뼛조각이 어떻게 떨어져 나올 수 있었느냐는 질문에 “유실방지망 일부가 훼손된 것으로 추정한다”고 밝힌 데다, 해저면에 깔려있어 잠수사들의 접근이 어려웠던 세월호 선체 좌현(왼쪽)을 중심으로 아예 유실방지망이 설치되지 않은 개구부(창문, 출입구, 환기구 등)도 101곳이나 된다. 리프팅 빔과 선체 사이사이에도 유실방지망을 쳐두긴 했으나 세월호를 들어 올릴 때 유해가 빠져나갔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우현(오른쪽) 쪽에도 인양작업을 위해 선체 곳곳에 126개의 구멍(천공)을 뚫었다.

장기욱 세월호 인양추진과장은 “유실물이 세월호에서 빠져나온다고 해도 반잠수식 선박에 1.1m 높이의 펜스를 둘러쳐 놓아서 밖으로 빠져나갈 가능성은 없다”고 말했다.

박수진 기자 sujininvan@, 진도 = 정우천 기자 sunshine@munhwa.com
박수진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