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업부 ‘…경쟁력 강화 방안’
메모리 반도체 비해 수준 열악
삼성전자 등 4645억 투자안
4년간 전문인력 2880명 양성
반도체분과 신설 협력 관계
“4차 산업혁명 주도 기회돼야”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시스템 반도체 선도국으로 뛰어오르기 위해 민·관이 손을 잡고 모두 4645억 원을 투자키로 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가 주도해 온 메모리 시장과 달리 열악한 수준(세계 시장점유율 4.3%·대기업 제외 시 1% 미만)을 면치 못해 온 시스템 반도체 시장에서 한국이 새로운 도약의 발판을 마련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국내 시스템 반도체 산업은 스마트폰 등으로의 시장 전환에 실패한 데다 중국에마저 밀려 새로운 돌파구 마련이 절실한 상황이다.
주형환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30일 오전 경기 성남시 분당구 판교역로 한국반도체산업협회 사무실에서 박성욱 SK하이닉스 부회장·김기남 삼성전자 반도체총괄 겸 시스템LSI사업부장(사장)·최창식 동부하이텍 사장 등 산·학·연 전문가와 만나 간담회를 하고 이런 내용의 ‘시스템 반도체 산업 경쟁력 강화 방안’을 마련했다.
이 방안에 따르면 민·관은 공동으로 초전력·초경량·초고속을 특징으로 하는 차세대 시스템 반도체와 소재, 공정의 연구개발(R&D)과 인력 양성 등에 모두 2645억 원을 사용하기로 했다.
또 차량용 반도체 석사과정 신설 등을 통해 시스템 반도체 개발 전문인력을 4년간 총 2880명을 양성하고, 반도체·완성차 업계 간 협력관계를 구축하기 위해 ‘자동차 융합 얼라이언스’(150여사 참여) 안에 반도체 분과를 신설하기로 했다.
글로벌 자동차·가전 기업 등을 초청해 국내 전자부품 기업 등과 연결해 주는 ‘글로벌 네트워킹 행사’를 독일 BMW(31일)를 시작으로 연 4회 열기로 했다.
이와 별도로 삼성전자(500억 원)와 SK하이닉스(250억 원) 등은 정책금융기관과 손잡고 2000억 원 규모의 ‘반도체 성장 펀드’를 조성해 반도체 설계 기업 등의 육성에 앞장서기로 했다. 이를 위해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반도체 설계 전문업체 등은 기술개발 협력·사물인터넷(IoT) 플랫폼 확산, 생태계 조성 등을 골자로 하는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주 장관은 “반도체산업은 4차 산업혁명의 도래에 따라 스마트 모빌리티, 스마트 홈 등 다양한 응용분야의 핵심 조력자로서 반도체의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한 시기가 됐다”며 “세계 1위의 기술력을 확보한 메모리반도체 산업을 토대로 시스템반도체 분야를 집중적으로 육성해 4차 산업혁명을 우리나라가 도약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로 만들어 나가야 한다”고 당부했다.
이관범 기자 frog72@munhwa.com
메모리 반도체 비해 수준 열악
삼성전자 등 4645억 투자안
4년간 전문인력 2880명 양성
반도체분과 신설 협력 관계
“4차 산업혁명 주도 기회돼야”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시스템 반도체 선도국으로 뛰어오르기 위해 민·관이 손을 잡고 모두 4645억 원을 투자키로 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가 주도해 온 메모리 시장과 달리 열악한 수준(세계 시장점유율 4.3%·대기업 제외 시 1% 미만)을 면치 못해 온 시스템 반도체 시장에서 한국이 새로운 도약의 발판을 마련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국내 시스템 반도체 산업은 스마트폰 등으로의 시장 전환에 실패한 데다 중국에마저 밀려 새로운 돌파구 마련이 절실한 상황이다.
주형환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30일 오전 경기 성남시 분당구 판교역로 한국반도체산업협회 사무실에서 박성욱 SK하이닉스 부회장·김기남 삼성전자 반도체총괄 겸 시스템LSI사업부장(사장)·최창식 동부하이텍 사장 등 산·학·연 전문가와 만나 간담회를 하고 이런 내용의 ‘시스템 반도체 산업 경쟁력 강화 방안’을 마련했다.
이 방안에 따르면 민·관은 공동으로 초전력·초경량·초고속을 특징으로 하는 차세대 시스템 반도체와 소재, 공정의 연구개발(R&D)과 인력 양성 등에 모두 2645억 원을 사용하기로 했다.
또 차량용 반도체 석사과정 신설 등을 통해 시스템 반도체 개발 전문인력을 4년간 총 2880명을 양성하고, 반도체·완성차 업계 간 협력관계를 구축하기 위해 ‘자동차 융합 얼라이언스’(150여사 참여) 안에 반도체 분과를 신설하기로 했다.
글로벌 자동차·가전 기업 등을 초청해 국내 전자부품 기업 등과 연결해 주는 ‘글로벌 네트워킹 행사’를 독일 BMW(31일)를 시작으로 연 4회 열기로 했다.
이와 별도로 삼성전자(500억 원)와 SK하이닉스(250억 원) 등은 정책금융기관과 손잡고 2000억 원 규모의 ‘반도체 성장 펀드’를 조성해 반도체 설계 기업 등의 육성에 앞장서기로 했다. 이를 위해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반도체 설계 전문업체 등은 기술개발 협력·사물인터넷(IoT) 플랫폼 확산, 생태계 조성 등을 골자로 하는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주 장관은 “반도체산업은 4차 산업혁명의 도래에 따라 스마트 모빌리티, 스마트 홈 등 다양한 응용분야의 핵심 조력자로서 반도체의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한 시기가 됐다”며 “세계 1위의 기술력을 확보한 메모리반도체 산업을 토대로 시스템반도체 분야를 집중적으로 육성해 4차 산업혁명을 우리나라가 도약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로 만들어 나가야 한다”고 당부했다.
이관범 기자 frog72@munhwa.com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