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가해상풍력단지’ 지정 추진
소야도 ~ 소이작도 조류발전기
강화·인천灣 조력발전 재시동
어민·환경단체 등 반발이 변수
인천시가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확대 정책에 발맞춰 덕적도 인근 해역에 국내 최대 규모의 해양발전단지를 조성한다. 그러나 어업손실을 우려한 어민들의 반대와 환경파괴에 따른 반발 여론도 만만치 않을 것으로 보여 논란이 예상된다.
3일 인천시에 따르면 오는 2025년까지 덕적군도 인근 대초지도 앞 해상에 풍력발전기 39기(1기당 2.5㎿)와 소야도와 소이작도 사이 좁은 해협에 조수간만의 차를 이용한 조류 발전기 200기(1기당 1㎿)를 설치, 연간 879.2GW(기가와트·1000㎿)의 전력을 생산할 계획이다. 생산된 전력은 직선거리로 22.5㎞ 떨어진 영흥화력발전소까지 해저케이블을 통해 공급된다. 오는 2035년까지 전체 에너지사용량의 11%를 신재생에너지로 보급한다는 정부방침에 따른 것이다. 이 같은 해양발전단지는 지난해 9월 국내에선 처음 가동에 들어간 ‘제주해상풍력발전단지(30㎿)’보다 전력 생산 면에서 10배가량 큰 규모다. 하지만 지난해 인천의 전력사용량은 3만2024GW에 달해 이들 시설이 가동돼도 신재생에너지 보급률은 고작 2.7% 늘어나는 데 그친다. 현재 인천의 신재생에너지 보급률은 3% 미만이다.
시 관계자는 “신재생에너지 대부분을 태양광에 의존하고 있지만 도심에서는 발전시설을 설치할 만한 장소가 없고 생산 효율성도 떨어져 보급률을 목표치(11%)까지 끌어올리기 위해서는 대규모 해양발전설비가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시는 이를 위해 이달 중 사업 추진을 위한 민간컨소시엄을 구성하고, 산업통상자원부에 ‘국가해상풍력단지’ 지정도 신청해 반대여론을 잠재울 정부 지원책을 이끌어 낸다는 방침이다.
한편 2011년 환경단체의 반발로 중단됐던 강화·인천만 조력발전사업이 또다시 ‘뜨거운 감자’로 떠오르고 있다. 한국수력원자력이 국책사업으로 추진했던 이곳 조력발전사업은 인천 영종도~장봉도~강화도를 잇는 길이 17㎞의 방조제에 수력발전기 44기(1기당 30㎿)를 설치, 연간 2414GW의 전력을 생산할 수 있지만 갯벌 등 바다 생태계 파괴에 대한 우려로 중단됐다.
한수원 고위 관계자는 “신재생에너지 보급률을 높이기 위해 강화·인천만조력발전사업도 재검토 대상이다”고 말했다. 그러나 시민환경단체들은 강화·인천만 조력발전사업 재추진에 반발하고 있다.
인천 = 지건태 기자 jus216@munhwa.com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