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커(중국인 관광객) 감소로 면세점들이 적자 행진을 이어가고 있는 가운데 12일 오전 서울 중구 소공동 롯데면세점이 한산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유커(중국인 관광객) 감소로 면세점들이 적자 행진을 이어가고 있는 가운데 12일 오전 서울 중구 소공동 롯데면세점이 한산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 ‘면세점 선정 비리’ 본격 수사

‘崔의 남자’ 의혹 관세청장 등
‘감사원 수사 의뢰’ 4명 조사

특정 대기업 조직적 특혜 의혹
최순실·안종범 등 수사 불가피

재단출연과 관련성 밝혀지면
朴뇌물죄 추가고리 나올수도


검찰이 12일 ‘면세점 비리’에 대한 수사에 착수하며 ‘박근혜-최순실 국정농단 사건’에 대한 수사는 새로운 전기를 맞게 됐다. 감사원 감사 결과, 2015∼2016년 세 차례에 걸친 면세점 사업자 선정 과정에서 특정 대기업에 대한 조직적이고 노골적인 특혜가 드러난 만큼, 당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었던 박근혜 전 대통령과 안종범 전 청와대 정책조정수석, 최순실 씨 등에 대한 검찰 수사가 필연적이기 때문이다.

박 전 대통령과 국정농단 주범인 비선 실세 최순실 씨가 다시 한 번 검찰의 사정권에 들어오면서 국정농단 수사 ‘시즌 2’가 시작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검찰이 조직 정기 인사가 예정된 8월 전후로 면세점 비리와 관련된 전 정권 실세들과 대기업의 유착 관계를 정조준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이 사건이 ‘면세점 게이트’로 확대돼 대기업에 대한 전방위적 사정에 나설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검찰은 이날 감사원으로부터 고발된 천홍욱 관세청장과 수사 의뢰된 서울세관 전·현직 직원 4명에 대한 수사를 개시했다. 천 관세청장은 면세점 심사자료를 파기한 혐의(공공기록물법 위반 혐의)를 받고 있고, 관세청 관계자 4인은 면세점 사업자 심사 점수를 조작한 혐의(허위공문서 작성·행사, 위계에 의한 공무집행방해) 등을 받는다. 서울중앙지검은 의혹 규명의 시급성을 고려해 이 사건을 특수부에 우선 배당하는 방안을 고려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국정농단 수사를 맡았던 특수부에 배당함으로써 ‘면세점 비리 사건’이 ‘박근혜-최순실 게이트’로 촉발된 국정농단 사건의 연장선상에 있음을 분명히 하는 의미도 있다. 수사 의뢰된 관세청 관계자 외에 특혜를 받은 한화그룹, 두산그룹 등 기업 관계자들도 검찰 수사 선상에 오를 수 있다.

검찰은 특히 천 관세청장이 면세점 비리 심사에 앞장선 것과 관련, 최순실 씨가 개입한 정황을 집중적으로 파고들 것으로 전망된다. 천 관세청장은 청장 취임 직후 최순실 씨에게 ‘충성 서약’한 의혹이 제기된 인물이다. 또한 1차 심사에서 특혜를 받았던 한화와 두산이 최 씨의 딸 정유라 씨에 대한 승마 지원을 했거나, 미르·K스포츠재단 출연에 적극적이었음을 고려해 재단 출연과 면세점 입점의 연관성을 집중 추궁할 것으로 전망된다. 검찰 수사 과정에서 연관 관계가 드러난다면 현재 진행 중인 박 전 대통령의 뇌물죄 혐의 재판에서 새로운 실마리가 풀릴 가능성도 있다. 아울러 박 전 대통령 지시로 추가된 3차 심사에서 가까스로 선정된 롯데그룹도 검찰의 칼날을 피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롯데그룹은 2차 심사에서 탈락한 뒤 미르·K스포츠재단에 기금을 출연했다.

이정우 기자 krusty@munhwa.com

관련기사

이정우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