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의 디지털 발전 수준은 다른 나라보다 우수하지만 향후 미래 성장 가능성 측면에서는 분발해야 한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17일 마스터카드가 미국 터프츠대 플레처스쿨과 공동으로 조사한 ‘2017 디지털 진화지수(Digital Evolution Index 2017)’에 따르면 한국은 높은 수준의 디지털 변혁을 경험했지만, 앞으로 성장할 수 있는 동력은 부족한 국가로 진단됐다.
현재의 ‘디지털 진화지수’는 조사대상 60개국 중 7번째로 높았다. 하지만 지난 2008년부터 2015년 사이의 디지털 변혁 속도를 기반으로 미래 성장 가능성을 측정한 순위에서는 49위에 머물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은 미국, 캐나다, 호주, 네덜란드 등 대부분 서구 선진국들과 함께 ‘정체(stall-out)’단계에 속했다. 이번 조사는 한국을 포함한 전 세계 60개국의 디지털 경제 발전 정도와 온라인 연결성 등을 총 170개의 지표를 활용해 측정한 결과다.
마스터카드와 플레처스쿨은 조사결과 리포트를 통해 “현재의 디지털 진화 수준이 향후 미래의 성공까지 보장하지는 않는다”며 “혁신에 얼마나 개방적이고 지원을 아끼지 않는지가 국가의 미래 성장을 결정짓는 요인이며, ‘정체’ 단계에 속한 국가들은 디지털 경제에서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는 추가적인 혁신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진단했다.
이번 조사는 국가별 디지털 신뢰 수준도 평가했다. 디지털 경제와 관련한 실사용자의 경험이나 수용방법, 국가 및 당국의 정책 방향 등을 통해 소비자들이 디지털 경제를 얼마나 신뢰하고 있는지를 가늠한 결과다. 한국은 당국의 정책이나 규제적 요소 등을 평가한 환경(Environment)과 소비자의 디지털 경제 신뢰 수준 등을 분석한 경험(Experience) 카테고리에서 조사대상 42개국 중 각각 8위와 3위를 기록했다.
아제이 발라 마스터카드 글로벌 엔터프라이즈 리스크 및 보안 부문 회장은 “첨단 기술은 경제를 발전시키고 모두의 삶을 더 윤택하게 만들 수 있지만, 이 같은 성장은 건전한 디지털 생태계에 대한 신뢰와 확신이 있을 경우만 가능하다”며, “현재의 연결사회에서 신뢰와 보안은 디지털 발전의 중추적인 요소”라고 말했다. 이번 조사의 영문 리포트 원본은 링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황혜진 기자 best@munhwa.com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