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진 ‘원전홍보’ 중단 결정
‘건설영구중단’ 편중된 주장만
배심원단 결정 영향 미칠 우려
한국수력원자력이 신고리 5·6호기 건설 영구 중단과 관련해 환경운동단체들의 압박에 시달리고 있다. 원전의 필요성을 주장하는 진영의 구심점 역할을 해야 할 한수원에 대해 환경단체들은 공기업이란 이유로 중립성을 강요하고 있는 모습이다.
28일 정부 등에 따르면 한수원은 신고리 5·6호기 공론화위원회가 끝나는 10월 후반까지 언론 및 대외 홍보활동을 중단키로 한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가 ‘탈원전’을 선언했고, 신고리 5·6호기 공론화위가 구성된 상황에서 한수원의 기존 홍보활동이 공론화위 중립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환경단체의 요구 때문이다. 하지만 한수원은 신고리 5·6호기 건설 영구 중단을 반대하는 단체의 중심인 한국원자력산업회의(원산회)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기관이다. 이관섭 한수원 사장이 원산회의 회장이다. 이 같은 이유로 이 사장은 한수원 이사회가 신고리 5·6호기 잠정 중단 결정을 내린 직후에도 “영구 중단은 막겠다”는 입장을 공개한 바 있다.
이 사장은 한수원의 역할을 고려해 이 같은 의지를 밝혔지만, 실상 한수원은 정부의 압박 등으로 인해 신고리 5·6호기 건설 중단의 문제점을 제대로 전파하지 못하고 있는 상태다. 환경단체들은 공론화위 출범과 더불어 각종 거리 집회, 서명 등 외부 활동을 통해 건설 중단의 이유를 알리고 있지만, 건설 중단 반대 측은 대외 활동 자체가 없다.
원전의 필요성을 주장하는 한 관계자는 “환경단체들은 오랜 기간 장외집회 등을 통해 자신들의 입장을 알려왔지만 원전 찬성 측 인사들은 원전의 안전성, 수용성을 높이기 위한 대중활동을 단 한 번도 제대로 한 적이 없다”고 꼬집었다. 한수원의 홍보활동이 묶인 상황에서 결국 건설 중단을 요구하는 환경단체들의 목소리가 국민 배심원단의 결정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 대목이다.
한수원 노동조합 등 내부에서도 회사 측이 더 적극적으로 신고리 5·6호기 건설 영구 중단의 문제점을 알리는 데 총력을 기울이라고 요구하고 있으나, 경영진은 정부의 눈치를 볼 수밖에 없는 공기업으로서의 입장을 더 고려할 것이란 게 업계의 중론이다.
박정민 기자 bohe00@munhwa.com
‘건설영구중단’ 편중된 주장만
배심원단 결정 영향 미칠 우려
한국수력원자력이 신고리 5·6호기 건설 영구 중단과 관련해 환경운동단체들의 압박에 시달리고 있다. 원전의 필요성을 주장하는 진영의 구심점 역할을 해야 할 한수원에 대해 환경단체들은 공기업이란 이유로 중립성을 강요하고 있는 모습이다.
28일 정부 등에 따르면 한수원은 신고리 5·6호기 공론화위원회가 끝나는 10월 후반까지 언론 및 대외 홍보활동을 중단키로 한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가 ‘탈원전’을 선언했고, 신고리 5·6호기 공론화위가 구성된 상황에서 한수원의 기존 홍보활동이 공론화위 중립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환경단체의 요구 때문이다. 하지만 한수원은 신고리 5·6호기 건설 영구 중단을 반대하는 단체의 중심인 한국원자력산업회의(원산회)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기관이다. 이관섭 한수원 사장이 원산회의 회장이다. 이 같은 이유로 이 사장은 한수원 이사회가 신고리 5·6호기 잠정 중단 결정을 내린 직후에도 “영구 중단은 막겠다”는 입장을 공개한 바 있다.
이 사장은 한수원의 역할을 고려해 이 같은 의지를 밝혔지만, 실상 한수원은 정부의 압박 등으로 인해 신고리 5·6호기 건설 중단의 문제점을 제대로 전파하지 못하고 있는 상태다. 환경단체들은 공론화위 출범과 더불어 각종 거리 집회, 서명 등 외부 활동을 통해 건설 중단의 이유를 알리고 있지만, 건설 중단 반대 측은 대외 활동 자체가 없다.
원전의 필요성을 주장하는 한 관계자는 “환경단체들은 오랜 기간 장외집회 등을 통해 자신들의 입장을 알려왔지만 원전 찬성 측 인사들은 원전의 안전성, 수용성을 높이기 위한 대중활동을 단 한 번도 제대로 한 적이 없다”고 꼬집었다. 한수원의 홍보활동이 묶인 상황에서 결국 건설 중단을 요구하는 환경단체들의 목소리가 국민 배심원단의 결정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 대목이다.
한수원 노동조합 등 내부에서도 회사 측이 더 적극적으로 신고리 5·6호기 건설 영구 중단의 문제점을 알리는 데 총력을 기울이라고 요구하고 있으나, 경영진은 정부의 눈치를 볼 수밖에 없는 공기업으로서의 입장을 더 고려할 것이란 게 업계의 중론이다.
박정민 기자 bohe00@munhwa.com
관련기사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