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중구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외과 교수팀 분석
수도권의 한 종합병원 초진환자의 1인당 평균 진료시간을 분석한 결과 평균 6.2분이지만, 환자들은 최소 8.9분을 원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강중구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외과 교수팀은 지난해 8월 일산병원 외래를 찾은 초진환자와 보호자 612명(평균나이 44.8세)을 대상으로 1인당 평균 진료시간과 만족하는 진료시간, 추가 비용 지출 의사 등을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보건행정학회지 최근호에 발표됐다. 첫 진료를 말하는 초진환자는 본인의 증상을 가급적 자세히 의사에게 설명해야 하고, 의사도 정확한 진단을 위해 많은 시간을 할애하는 것이 좋다. 다만 의료계는 초진환자의 외래 진찰료가 낮아서 제한된 시간 내에 가능한 한 많은 환자를 진료해야만 병원 운영이 가능하다는 주장을 하고 있다.
조사 결과 초진환자 1인당 평균 진료시간은 6.2분으로, 2015년 국정감사에서 발표된 전국 10개 국립대병원의 초진환자 1인당 평균 진료시간 7.4분보다 짧았다. 진료과목별로는 정신건강의학과와 일반외과의 실제 진료시간이 각각 13.9분, 9.0분으로 가장 길었다. 정형외과가 1인당 3.7분을 진료해 진료시간이 가장 짧았다. 상대적으로 환자가 많은 내과는 평균 5.4분을 진료했다.
환자들이 제시한 ‘만족하는 진료시간’은 평균 8.9분으로 실제 진료시간과 2.7분의 차이를 보였다. 만족하는 진료시간 역시 정신건강의학과가 16.2분으로 가장 길었다. 이는 정신건강의학과를 찾는 환자들의 특성상 의사와의 장시간 상담이 매우 중요하다고 여기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이어 환자들이 평균 10분 이상 진료해야 만족한다고 꼽은 과목은 일반외과(10.0분), 산부인과(10.2분), 재활의학과(10.2분) 등이었다. 내과의 경우 7.9분으로 진료시간을 2.5분 더 늘려야 환자들에게 만족감을 줄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됐다.
전체 응답자 중 62.3%(381명)는 자신이 만족하는 진료시간을 위해 본인 부담금을 평균 5853원 더 지급할 수 있다고 응답했다. 추가 비용 지불 의사를 밝힌 환자들만 보면 만족하는 진료시간이 10분으로 더 길었다. 만족하는 진료시간이 길수록 지불 가능 금액도 증가했다.
최근 의료계에서는 환자들의 이런 요구를 반영하기 위해 평균 진료시간을 늘리려는 작업이 한창이다. 삼성서울병원이 심장클리닉 초진환자의 진료시간을 15~20분으로 늘리겠다고 발표한 데 이어 서울대병원은 9월부터 11개 진료과목에서 ‘15분 진료’를 1년간 시범적으로 시행하겠다는 계획을 내놨다. 다만 일각에서는 이러한 진료시간 확대를 대형병원 쏠림현상을 개선하지 않은 채 시행하면 오히려 환자들의 대기시간만 크게 길어질 수 있다며 쏠림현상부터 바꿔야 한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이용권 기자 freeuse@
수도권의 한 종합병원 초진환자의 1인당 평균 진료시간을 분석한 결과 평균 6.2분이지만, 환자들은 최소 8.9분을 원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강중구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외과 교수팀은 지난해 8월 일산병원 외래를 찾은 초진환자와 보호자 612명(평균나이 44.8세)을 대상으로 1인당 평균 진료시간과 만족하는 진료시간, 추가 비용 지출 의사 등을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보건행정학회지 최근호에 발표됐다. 첫 진료를 말하는 초진환자는 본인의 증상을 가급적 자세히 의사에게 설명해야 하고, 의사도 정확한 진단을 위해 많은 시간을 할애하는 것이 좋다. 다만 의료계는 초진환자의 외래 진찰료가 낮아서 제한된 시간 내에 가능한 한 많은 환자를 진료해야만 병원 운영이 가능하다는 주장을 하고 있다.
조사 결과 초진환자 1인당 평균 진료시간은 6.2분으로, 2015년 국정감사에서 발표된 전국 10개 국립대병원의 초진환자 1인당 평균 진료시간 7.4분보다 짧았다. 진료과목별로는 정신건강의학과와 일반외과의 실제 진료시간이 각각 13.9분, 9.0분으로 가장 길었다. 정형외과가 1인당 3.7분을 진료해 진료시간이 가장 짧았다. 상대적으로 환자가 많은 내과는 평균 5.4분을 진료했다.
환자들이 제시한 ‘만족하는 진료시간’은 평균 8.9분으로 실제 진료시간과 2.7분의 차이를 보였다. 만족하는 진료시간 역시 정신건강의학과가 16.2분으로 가장 길었다. 이는 정신건강의학과를 찾는 환자들의 특성상 의사와의 장시간 상담이 매우 중요하다고 여기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이어 환자들이 평균 10분 이상 진료해야 만족한다고 꼽은 과목은 일반외과(10.0분), 산부인과(10.2분), 재활의학과(10.2분) 등이었다. 내과의 경우 7.9분으로 진료시간을 2.5분 더 늘려야 환자들에게 만족감을 줄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됐다.
전체 응답자 중 62.3%(381명)는 자신이 만족하는 진료시간을 위해 본인 부담금을 평균 5853원 더 지급할 수 있다고 응답했다. 추가 비용 지불 의사를 밝힌 환자들만 보면 만족하는 진료시간이 10분으로 더 길었다. 만족하는 진료시간이 길수록 지불 가능 금액도 증가했다.
최근 의료계에서는 환자들의 이런 요구를 반영하기 위해 평균 진료시간을 늘리려는 작업이 한창이다. 삼성서울병원이 심장클리닉 초진환자의 진료시간을 15~20분으로 늘리겠다고 발표한 데 이어 서울대병원은 9월부터 11개 진료과목에서 ‘15분 진료’를 1년간 시범적으로 시행하겠다는 계획을 내놨다. 다만 일각에서는 이러한 진료시간 확대를 대형병원 쏠림현상을 개선하지 않은 채 시행하면 오히려 환자들의 대기시간만 크게 길어질 수 있다며 쏠림현상부터 바꿔야 한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이용권 기자 freeuse@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