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학년부터…4년제大 최초
수입 감소분은 서울시가 보전
서울시립대가 2018학년도부터 입학전형료와 입학금을 모두 받지 않기로 했다. 입학금은 물론 입학전형료까지 없앤 대학은 4년제 일반대학 가운데 서울시립대가 처음이다.
서울시립대는 9일 “그동안 논란이 된 과도한 대학입시 관련 입학전형료·입학금 등 각종 비용을 합리적으로 개선하자는 공감대가 있었다”며 “공립대로서 사회적 책무와 공공성 강화 차원에서 학부모와 학생들의 학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입학전형료와 입학금 폐지를 결정했다”고 밝혔다.
대학 입학전형료는 지원자의 수학능력을 평가하는 데 드는 비용이다. 수험생들은 수시·정시모집을 합쳐 최대 9번 지원서를 낼 수 있기 때문에 1인당 입학전형료로 평균 50만∼60만 원을 써야 했다. 서울시립대의 경우 2017학년도 입학전형료가 △수시모집 논술전형·학생부 종합전형 6만 원 △학생부 교과전형·정시모집 일반전형 3만5000원 △예체능계열 전형 7만 원이었다. 입학전형료수입은 1년에 10억 원 가량이었다. 서울시립대는 2017학년도 지원자 수를 고려했을 때 1만8000명 이상이 입학전형료 무료 혜택을 받을 것으로 내다봤다. 내년도 시립대 입학정원(편입학·재입학 포함)은 2044명이다. 서울시립대의 입학금 면제는 지금까지 신입생의 부모가 서울에 3년 이상 거주했을 때만 해당됐다. 하지만 이제 모든 신입생이 면제 혜택을 받게 됐다. 서울시립대의 연간 입학금 수익은 2억 원가량이었다. 시립대 입학전형료와 입학금 수입 감소분은 서울시가 보전해주기로 했다. 서울시립대는 2012년 전국에서 처음으로 반값등록금을 도입했고, 2013년에는 입학전형료를 한 차례 인하(1만 원)한 바 있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전형료와 입학금 폐지로 학부모와 학생의 경제적 부담이 경감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김도연 기자 kdychi@munhwa.com
수입 감소분은 서울시가 보전
서울시립대가 2018학년도부터 입학전형료와 입학금을 모두 받지 않기로 했다. 입학금은 물론 입학전형료까지 없앤 대학은 4년제 일반대학 가운데 서울시립대가 처음이다.
서울시립대는 9일 “그동안 논란이 된 과도한 대학입시 관련 입학전형료·입학금 등 각종 비용을 합리적으로 개선하자는 공감대가 있었다”며 “공립대로서 사회적 책무와 공공성 강화 차원에서 학부모와 학생들의 학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입학전형료와 입학금 폐지를 결정했다”고 밝혔다.
대학 입학전형료는 지원자의 수학능력을 평가하는 데 드는 비용이다. 수험생들은 수시·정시모집을 합쳐 최대 9번 지원서를 낼 수 있기 때문에 1인당 입학전형료로 평균 50만∼60만 원을 써야 했다. 서울시립대의 경우 2017학년도 입학전형료가 △수시모집 논술전형·학생부 종합전형 6만 원 △학생부 교과전형·정시모집 일반전형 3만5000원 △예체능계열 전형 7만 원이었다. 입학전형료수입은 1년에 10억 원 가량이었다. 서울시립대는 2017학년도 지원자 수를 고려했을 때 1만8000명 이상이 입학전형료 무료 혜택을 받을 것으로 내다봤다. 내년도 시립대 입학정원(편입학·재입학 포함)은 2044명이다. 서울시립대의 입학금 면제는 지금까지 신입생의 부모가 서울에 3년 이상 거주했을 때만 해당됐다. 하지만 이제 모든 신입생이 면제 혜택을 받게 됐다. 서울시립대의 연간 입학금 수익은 2억 원가량이었다. 시립대 입학전형료와 입학금 수입 감소분은 서울시가 보전해주기로 했다. 서울시립대는 2012년 전국에서 처음으로 반값등록금을 도입했고, 2013년에는 입학전형료를 한 차례 인하(1만 원)한 바 있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전형료와 입학금 폐지로 학부모와 학생의 경제적 부담이 경감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김도연 기자 kdychi@munhwa.com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