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SDS 대화형‘브리티’공개
기업용 AI 플랫폼 경쟁 본격화
국내 정보기술(IT) 서비스 업계에 기업용 인공지능(AI) 플랫폼 경쟁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특히 삼성SDS는 지난 6월 발표한 분석 및 시각 AI와 더불어 5일 대화형 AI ‘브리티’까지 공개하며 제조, 금융 등 기업용 AI 시장 공략을 위한 준비를 마쳤다.
최근 LG CNS가 AI 플랫폼 ‘LG CNS DAP’를 선보인 가운데 6일에는 SK㈜ C&C도 IBM의 AI 왓슨과 협력한 에이브릴의 한국어 버전을 공식 출시할 예정이어서 하반기 IT 서비스 업체 간 기업용 AI 플랫폼 시장 주도권 쟁탈전이 예상된다.
삼성SDS는 이날 오전 서울 송파구 잠실 본사에서 미디어 설명회를 열고 브리티를 공개했다. 이날 공개된 브리티는 자연어로 대화해 업무를 지원하고 수행하는 지능형 비서의 특성을 갖췄다. ‘냉장고 주문했는데 언제 도착합니까?’라고 물으면 ‘냉장고 주문했는데’라는 부가정보와 ‘언제 도착합니까?’라는 의도를 분리, 부가정보를 활용해 질문의도에 맞게 답할 수 있다.
특히 브리티는 문자 대화뿐만 아니라 음성 대화도 지원해 카카오톡, 라인 등 모바일 메신저를 통한 챗봇 기능은 물론 PC, 전화, 스마트폰 등 하드웨어와 관계없이 적용할 수 있다. 고객이 ‘제품 애프터서비스(AS)를 받으려고 하는데 가까운 센터 안내 바랍니다’라고 전화로 문의하면 브리티가 직원을 대신해 고객지원시스템에 있는 AS 센터의 정보를 가져와 음성으로 ‘강남역 센터로 가시면 된다’고 알려주는 식이다.
브리티는 대화 모델 성능을 향상시켜 기존 대화형 AI에 비해 구축 기간을 기존 3개월에서 1개월로 단축해 비용절감 효과를 제공한다. 삼성SDS는 외부 출시에 앞서 올 5월부터 삼성SDS를 포함한 계열사 임직원을 대상으로 일정, 전화 번호, 출장, 근태 및 식단 메뉴 등 각종 정보 서비스를 브리티로 처리하며 성능 검증을 마친 상태다.
김종필 삼성SDS 개발센터장(상무)은 “브리티는 이미 여러 업종에서 다양한 응용서비스로 구현 중”이라며 “제품과 서비스를 혁신하는 플랫폼 서비스로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말했다.
임정환 기자 yom724@munhwa.com
기업용 AI 플랫폼 경쟁 본격화
국내 정보기술(IT) 서비스 업계에 기업용 인공지능(AI) 플랫폼 경쟁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특히 삼성SDS는 지난 6월 발표한 분석 및 시각 AI와 더불어 5일 대화형 AI ‘브리티’까지 공개하며 제조, 금융 등 기업용 AI 시장 공략을 위한 준비를 마쳤다.
최근 LG CNS가 AI 플랫폼 ‘LG CNS DAP’를 선보인 가운데 6일에는 SK㈜ C&C도 IBM의 AI 왓슨과 협력한 에이브릴의 한국어 버전을 공식 출시할 예정이어서 하반기 IT 서비스 업체 간 기업용 AI 플랫폼 시장 주도권 쟁탈전이 예상된다.
삼성SDS는 이날 오전 서울 송파구 잠실 본사에서 미디어 설명회를 열고 브리티를 공개했다. 이날 공개된 브리티는 자연어로 대화해 업무를 지원하고 수행하는 지능형 비서의 특성을 갖췄다. ‘냉장고 주문했는데 언제 도착합니까?’라고 물으면 ‘냉장고 주문했는데’라는 부가정보와 ‘언제 도착합니까?’라는 의도를 분리, 부가정보를 활용해 질문의도에 맞게 답할 수 있다.
특히 브리티는 문자 대화뿐만 아니라 음성 대화도 지원해 카카오톡, 라인 등 모바일 메신저를 통한 챗봇 기능은 물론 PC, 전화, 스마트폰 등 하드웨어와 관계없이 적용할 수 있다. 고객이 ‘제품 애프터서비스(AS)를 받으려고 하는데 가까운 센터 안내 바랍니다’라고 전화로 문의하면 브리티가 직원을 대신해 고객지원시스템에 있는 AS 센터의 정보를 가져와 음성으로 ‘강남역 센터로 가시면 된다’고 알려주는 식이다.
브리티는 대화 모델 성능을 향상시켜 기존 대화형 AI에 비해 구축 기간을 기존 3개월에서 1개월로 단축해 비용절감 효과를 제공한다. 삼성SDS는 외부 출시에 앞서 올 5월부터 삼성SDS를 포함한 계열사 임직원을 대상으로 일정, 전화 번호, 출장, 근태 및 식단 메뉴 등 각종 정보 서비스를 브리티로 처리하며 성능 검증을 마친 상태다.
김종필 삼성SDS 개발센터장(상무)은 “브리티는 이미 여러 업종에서 다양한 응용서비스로 구현 중”이라며 “제품과 서비스를 혁신하는 플랫폼 서비스로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말했다.
임정환 기자 yom724@munhwa.com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