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학과 미술의 만남은 상상만으로도 짜릿하다. 더구나 그게 최고와 최고의 결합이라면 더 말할 나위가 없다.
여기 그런 매력적인 시도가 있다. 미국의 대표적인 사실주의 화가 에드워드 호퍼(1882∼1967)의 그림과 스티븐 킹, 로런스 블록, 조이스 캐럴 오츠 등 현대 최고 작가들의 글이 어우러지는 프로젝트. 간단히 말해 호퍼의 그림을 단편 소설로 쓰는 것이다.
이 프로젝트는 블록의 주도로 성사됐다. 블록은 범죄소설인 ‘매슈 스커더’ 시리즈로 유명한 하드보일드 작가다. 미국 추리작가클럽이 최우수 작품에 수여하는 에드거상을 5회나 수상했다. 그는 호퍼 마니아다. 자신의 소설에도 여러 차례 언급한 바 있다. 그는 ‘호퍼의 그림에서 영감을 얻은 소설’이라는 조건으로 당대 최고의 작가들에게 작품을 요청했다.
작가들의 주목을 받은 호퍼는 미국인들이 가장 사랑하는 현대 화가다. 빛과 공간, 인물을 버무려 매우 사실적으로 풍경을 묘사하지만 그 안에 숨어 있는 인간의 고독과 상실을 잘 표현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마치 삽화 같기도 한 그의 그림은 우리에게도 낯익다. 공유와 공효진이 모델인 한 백화점 쇼핑몰 광고는 호퍼의 그림에서 영감을 얻은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블록을 포함해 모두 17명이 이번 프로젝트에 참여했다. 단연 눈에 띄는 작가는 세계 최고 스릴러 작가 스티븐 킹이다. 킹은 호퍼의 ‘뉴욕의 방’(1932)을 소설로 옮겼다. 부부로 보이는 남녀가 아파트 창가 거실에 앉아 있는 그림이다. 남자는 신문을 읽고 있고, 여자는 피아노 건반에 손을 올리고 있다. 퇴근 후 한 가정의 평온한 저녁 한때를 묘사한 것 같은데 어쩐지 긴장감이 서려 있다.
킹도 이 부분에 주목한 듯하다. 단편의 제목은 ‘음악의 방’. 엔더비 부부는 뉴욕의 고급 아파트에 산다. 남편과 아내는 여느 때처럼 신문의 사건·사고 기사를 화제 삼아 이런저런 대화를 나누고 있다. 그런데 거실 뒤쪽 벽장에서 들려오는 ‘쿵’ 소리가 무척 귀에 거슬린다. 벽장 안에선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을까.
노벨상 발표 때마다 늘 후보로 거론되는 조이스 캐럴 오츠는 호퍼의 ‘오전 열한 시’(1926)를 소재로 삼았다. 발가벗은 여자가 파란 소파에 앉아 창밖을 내다보는 그림이다. 여자의 하얀 피부는 관능적이지만 방 안의 분위기는 우울하다. 창가로 스미는 햇살에 대비돼 방이 더 어둡고 건조해 보인다.
오츠의 소설 제목은 ‘창가의 여자’. 그림 제목에서 드러나는 시간적 배경보다 등장 인물의 사연에 주목했다. 발가벗은 여자는 오전 11시에 자신을 찾아오는 남자를 기다리고 있다. 부인이 있는 남자다. 그들의 관계는 처음부터 위험을 내포하고 있다.
블록은 호퍼의 ‘자동판매기 식당’(1927)을 ‘자동판매기 식당의 가을’이라는 제목으로 창작했다. 그림에선 모자를 쓴 한 젊은 여인이 식당 테이블에 홀로 앉아 커피잔을 들고 있다. 소설은 20세기 초 자동판매기로 음식을 판매하던 식당에서 식사하는 여성의 이야기를 풀어내고 있다. 역시 예상을 뛰어넘는 결말이다.
17편의 단편 모두 하나의 그림을 실마리로 풍부한 상상력을 보여준다.
블록은 서문에서 독자에게 멋진 제안을 남겼다. “표제작인 ‘케이프 코드의 아침’에 해당하는 이야기가 없다. 이 작품은 독자들에게 맡기고자 한다. 18번째 그림의 이야기를 써달라.” 문학동네는 책의 출간을 기념해 이 그림에 대한 단편 공모 이벤트를 동시에 진행한다. 마감은 10월 31일까지. 상금은 100만 원이다. 440쪽, 1만8000원.
김인구 기자 clark@munhwa.com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